세계적 설치작가 양혜규, 퐁피두센터 포럼 개인전

세계적 설치작가 양혜규, 퐁피두센터 포럼 개인전

함혜리 기자
입력 2016-07-04 11:13
업데이트 2016-07-04 11:1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5일부터 두달간 블라인드작품 신작 공개

 세계적인 주목을 받고 있는 설치미술가 양혜규(45)가 예술의 본고장 파리의 퐁피두센터에서 5일부터 두달간 개인전을 갖는다. 다양한 매체를 사용해 동서양의 현대와 고전 문화를 넘나드는 비평적인 관점을 전개해 온 양혜규는 ‘좀처럼 가시지 않는 누스’라는 제목으로 퐁피두 센터에서 블라인드작품 신작을 선보인다.

이미지 확대
설치미술가 양혜규
설치미술가 양혜규
 양혜규만의 작품세계를 본격적으로 프랑스 미술계에 소개하게 되는 새로운 설치 작품은 일상적인 사물들의 형태와 정서적인 지점을 탐구하는 작가의 독창적인 스타일로 블라인드들을 추상적인 구성으로 재배열한 것이다.

 작품은 입장권 없이도 입장이 가능한 퐁피두센터 중앙홀에 위치한 총 높이 13m의 ‘포럼’ 공간에 설치됐다. 100㎡ 규모로 지하 1층부터 2층까지 세 개의 층을 아우르는 포럼 공간으로 관람객은 1층 난간 주위를 걷거나 지하로 이어지는 계단을 오르내리며 다양한 높이와 각도에서 작품을 감상할 수 있다. 특히 작품은 미술관 전면 유리벽으로 들어오는 햇빛의 양에 따라 인상을 달리하며 내외부의 관계성을 극대화한다.

각각 초록빛 혹은 연보라빛을 띤 두 가지 십자형 블라인드 200여 개로 구성된 ‘좀처럼 가시지 않는 누스’는 시각적으로도 구분이 가능한 네 부분의 부피가 지그재그로 쌓여져 있다. 각 부분은 녹색조와 연보라 빛이 교차하면서 색 띠의 혼합이 일어나며, 블라인드가 놓여있는 각도와 형태, 그리고 보는 방향에 따라 한 가지 주된 색만을 보게 된다. 기존 블라인드 작업에서 최상층에 설치돼 작품을 비추는 도구적 요소에 그쳤던 LED 조명은 이번 작품에서는 다양한 높이에 설치됨으로써 작품의 적극적인 구성요소로 등장한다. 빛이 작품의 일부로 녹아 들면서 블라인드의 교차 구조로 형성된 흐르는 듯한 동선과 맞물려 작품의 유동성이 강화되고 엄격한 기하학적 패턴으로부터 해방된다.

 한편 퐁피두센터의 중앙홀에는 퐁피두센터의 설립에 기여한 퐁피두 전 프랑스대통령의 초상을 담은 솔 르윗의 설치작품이 걸려 있다. 미니멀리즘의 거장 솔르윗은 양혜규의 작품에 결정적으로 개입하고 있는 작가라는 점도 이번 전시의 의미를 더한다. 양혜규는 2014년부터 2016년까지 미니멀리즘 거장 솔 르윗의 큐브 연작을 재해석한 순백색의 블라인드 설치작 ‘솔 르윗 뒤집기’ 연작을 선보여 왔다. 이번에 발표한 신작은 격자를 바탕으로 구성되는 기하학적 형태를 띠면서도 일말의 서사성을 제시하는 ‘솔르윗 뒤집기’의 귀환인 셈이다. 제목에 등장하는 그리스어 누스(nous)는 지적 능력, 지성, 이해, 마음, 사고, 이성 등을 가리킨다.

함혜리 선임기자 lotus@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