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3세대 작가 ‘햇빛 쏟아지던 날들’展
어디론가 떠나가는 이들이 그득하다. 배는 침몰할 듯 아슬아슬해 보이고, 배 앞부분에는 불이 났는지 연기로 가득 찼는데, 이들의 표정에서 초조함 같은 것은 보이지 않는다. 반대로 곧 뭍에 닿을 것이니 조금만 더 힘을 내자는 결의 같은 것도 드러나지 않는다. 오히려 광대처럼 고깔모자를 뒤집어쓰고 있질 않나, 하는 짓이란 게 낚시, 나팔 불기 같은 것들이다. 어떻게든 배를 몰아가는 데는 별 관심이 없어 뵌다. 그러니 얼굴표정에는 여독보다는 권태가 흘러넘친다. 제목은 ‘La Meduse’.

‘La Meduse’
●우쥔융·천웨이 등 현대중국 묘사… 새달 10일까지 갤러리현대
11월 10일까지 서울 사간동 갤러리현대에서 열리는 ‘햇빛 쏟아지던 날들’(In the heat of the Sun) 전시에 걸린 중국 작가 우쥔융의 작품이다. 다른 작품들에서는 이런 점이 더 두드러진다. 영상작품 ‘구름 악몽’(Clouds Nightmare)에서는 어린 시절 즐겨보던 만화영화와 같은 기법으로 현대 중국의 풍경을 묘사한다.


‘구름 악몽’(Clouds Nightmare)
비판하되 풍자적으로 하다 보니 웃음이 나도록 한다. 아예 우스꽝스러운 광대를 등장시켜 다이아몬드, 스페이드, 하트, 클로버를 다룬 트럼프 연작 시리즈도 눈길을 끈다.
●자본주의적 발전에 대한 불편한 시선 풍자적 해석
이번 전시에는 우쥔융 외 천웨이, 리칭, 메이드인, 투훙타오 등 1970년대 이후 태어난 중국의 젊은 작가 작품을 한데 모았다. 중국하면 흔히 마오쩌둥, 문화대혁명, 홍위병 같은 것을 떠올린다. 그리고 이를 부정적으로 묘사하는 것이중국 문화계의 큰 원동력 가운데 하나였다. 서구적 프리즘 아래 그렇게 됐다. 하지만, 그 속에서 살아온 사람들은 되묻는다. 자본주의 발전을 하니 좋더냐고, 그 옛 시절 정치적 광풍이 몰아닥치는 시절에도 사람은 살고 있었다라고. 젊은 작가들은 이 질문을 던지고 있는 것이다. 옛 시절을 무조건 부정하기보다 끌어안으려는 시도다.
그런 맥락에서 천웨이의 사진작업과 리칭의 데칼코마니 같은 작업도 눈길을 끈다. 천웨이는 지극히 연출적인 사진을 찍었는데, 모두 과거의 기억이 지금 어떻게 현재화되고 있는가를 다룬다. 기억을 재구성해서 한 화면에 배치한 세트장을 만든 뒤 작업하기 때문이다. 조용히 텅빈 공간 속에서 세월의 흔적을 찾아보는 재미가 쏠쏠하다.
●옛 시절 부정하기보다 끌어안으려는 시도
리칭의 ‘틀린 그림 찾기’는 조금 더 직접적이다. 후진타오 국가주석을 중심으로 세계 각국의 정상이 늘어선, 우리나라로 치면 청와대 전속 사진기사가 찍은 사진과도 같은 그림을 두 점 나란히 걸어뒀다.
작품 부제에는 두 그림 사이에 다른 부분이 10곳이 된다고 표시해 뒀지만, 정작 관건은 틀린 그림을 찾는 게 아니다. 재현으로서의 정치적 이벤트라는 것이 어떻게 작용하는지 고심케 한다.
조태성기자 cho1904@seoul.co.kr
2011-10-15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