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란드 얼음에 이미 사형선고” 사진과 표, 동영상을 보면

“그린란드 얼음에 이미 사형선고” 사진과 표, 동영상을 보면

임병선 기자
입력 2019-09-04 17:51
업데이트 2019-09-04 17:5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993년과 지난해 그린란드 남단 콰레라리크(Qaleraliq) 빙하를 비교해보면 현저히 얼음 면적이 줄었음을 알 수 있다. 구글 어스 탭처
1993년과 지난해 그린란드 남단 콰레라리크(Qaleraliq) 빙하를 비교해보면 현저히 얼음 면적이 줄었음을 알 수 있다.
구글 어스 탭처
전문가들의 백마디 말보다 사진이나 표, 그래픽을 보는 것이 나을 수도 있다. 심각할 정도로 빨리 녹고 있는 그린란드 빙상(氷床, 대륙만큼 큰 빙하) 얘기다.

이미 많은 전문가들의 우려와 경고가 전해졌지만 올해에만 이곳에서 녹아내린 얼음의 양은 세계 해수면을 1㎜ 끌어올릴 양이라고 영국 BBC가 3일(현지시간) 전했다. 연구자들은 녹는 속도가 빨라진 것에 놀라며 세계 곳곳의 바닷가에 인접한 도시들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BBC의 과학 에디터 데이비드 슈크먼은 2004년 자신이 마지막으로 그린란드 남단 콰레라리크(Qaleraliq) 빙하를 찾았을 때보다 지금의 두께는 100m나 줄었다고 지적했다. 이 북극해 빙상이 왜 중요하냐면 영국 면적의 일곱 배나 되고 두께만 해도 2~3㎞나 돼 모두 녹으면 전 세계 바다 수면을 7m나 끌어올릴 양이기 때문이다. 사실 그런 일이야 몇 백년이나 몇 천년 뒤에 벌어질 일이라고 넘길 수 있지만 몇㎝ 정도만 수면이 올라가도 해수면보다 낮은 곳에서 살아가는 수백만 명의 생존을 위협할 수 있다.

대표적인 예가 방글라데시, 미국 플로리다주, 잉글랜드 동부 등이다. 당장 그린란드 위쪽, 북극해 가까운 섬들에 사는 주민들도 장차 발생할 수 있는 홍수 위험에 대한 우려 때문에 본섬 이주를 고민해야 할 판국이다.

동영상을 보면 슈크먼 에디터는 15년 만에 찾은 콰레라리크 빙하에 발을 딛고 근처 발전소 등에서 날아온 먼지 때문에 얼음이 거무튀튀해지고 조류(藻類)가 서식하는 것을 보고 놀라는 장면이 나온다.

최근까지만 해도 빙상 문제는 균형이 취해지는 것으로 여겨졌다. 겨울에 눈 내리는 양이 여름에 얼음이 녹는 것을 상쇄한다는 얘기였다. 하지만 아래 그래픽은 그린란드의 빙상이 2002년 이후 계속 줄어드는 현상을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최근 몇년 동안 녹은 얼음 양은 3620억t 수준이어서 지난 2012년 4500억t에 견주면 상대적으로 적다. 하지만 올해는 거의 같은 수준이거나 앞지를 것으로 예상된다. 일부 연구자들은 해수면을 2㎜까지 끌어올릴 수 있는 양이라고 보고 있다.

물론 남극 얼음이 녹는 양까지 계산에 합쳐야 한다. 1980년 바다 얼음 최소 총량은 770만㎢였는데 올해 470만㎢가 됐다. 기록으로 가장 적었던 해는 1980년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2012년의 360만㎢였다.

덴마크 그린란드지리학서베이(GEUS)의 제이슨 복스 박사는 “앞으로도 기온이 계속 오르기만 할 것이란 걸 예상할 수 있기 때문에 그린란드 빙상에는 이미 사실상 사형선고가 내려졌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우리는 그린란드를 잃고 있다. 진짜 문제는 얼마나 빨리 진행되느냐일 뿐”이라고 딱잘라 말했다.

임병선 기자 bsnim@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