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비용 2천억원·최고가 입장권 12억원…숫자로본 트럼프 취임식

총비용 2천억원·최고가 입장권 12억원…숫자로본 트럼프 취임식

입력 2017-01-19 09:46
수정 2017-01-19 09:4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70∼90만명 참석·100여개 단체 시위 예상

총 비용 2천억원, 개인 기부금 1천억원, 최고가 입장권 12억원….

미 CBS 뉴스는 숫자로 보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의 취임식 현황을 18일(현지시간) 소개했다. 취임식은 오는 20일 워싱턴DC 의사당에서 열린다.

트럼프 당선인이 “성대할 것”이라고 예고한 대통령 취임식에 드는 비용은 모두 1억7천500만 달러(약 2천62억원)에서 2억 달러(약 2천356억원) 사이로 추산된다.

가장 돈이 많이 들어가는 분야는 2009년 오바마 대통령 취임식 때 미국 정부가 1억2천400만 달러(약 1천461억원)를 투입한 안전, 교통, 응급 서비스다.

이 비용은 기부금과 미국 납세자들이 낸 세금으로 충당한다. 트럼프 대통령 취임식준비위원회는 개인 기부금 9천 달러(약 1천60억원) 이상을 모았다고 밝혔다.

대통령 취임 선서식 등 많은 취임행사를 무료로 볼 수 있지만 좋은 자리에서 행사를 관람하려면 입장권이 필요하다.

최소 2만5천 달러(약 2천945만원), 최대 100만달러(약 12억원)를 기부한 개인과 기업은 취임식 환영 리셉션 행사에 입장해 가까이서 트럼프 당선인을 볼 수 있다.

가장 비싼 12억원짜리 입장권 패키지에는 트럼프 당선인 부부, 마이크 펜스 부통령 당선인 부부와 함께하는 만찬이 포함된다.

취임식준비위가 주최하는 공식 취임 축하행사인 ‘프리덤 볼’ 입장권은 이미 다 팔렸으며, 다른 축하행사 입장권은 1인당 최소 100달러부터 최대 1천 달러에 이른다.

또 8천 명 이상이 참석할 90분짜리 가두 행진을 특정 구역에서 관람하려면 입장권을 사야 한다.

19일부터 21일까지 사흘에 걸쳐 대통령 취임 관련 행사에 70∼90만 명이 찾을 것으로 미 사법당국은 예상했다. 2009년 오바마 대통령의 첫 취임식 때 180만 명의 기록적인 인파와 비교하면 절반 수준이다.

워싱턴DC에서는 취임행사 기간 100여 개 단체가 뒤엉켜 ‘친트럼프’와 ‘반트럼프’ 시위를 벌일 예정이다.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기 위해 국토안보부(DHS), 연방수사국(FBI), 의회경찰, 공원경찰 등 보안 인력 2만8천여 명이 배치된다.

최유희 서울시의원 “아이들과 숲으로!”…남산 숲길 대회 동행

서울시의회 최유희 의원(국민의힘, 용산2)은 17일 남산공원 솔밭 숲길에서 열린 2025년 녹색지원사업 탄생숲 캠페인 ‘남산 숲길 걷기 대회’에 참석해 유아들과 자연 속에서 함께 호흡하며 의미 있는 시간을 보냈다. (사)서울숲유치원협회가 주관하고 산림청, 복권위원회, 한국산림복지진흥원이 후원한 이번 걷기대회는 유아 생태교육의 실천 모델로, 도심 속에서 탄소중립과 생명존중의 가치를 체험할 수 있도록 마련됐다. 서울시 75개 유아교육기관 소속 유아 1000명과 교직원 500여명이 참여해 자연과 교감하며 배움의 시간을 가졌다. 아동들은 ‘말없이 걷기’, ‘감각의 길 체험’, ‘징검다리 건너기’, ‘특정 나무 찾기’ 등 일곱 가지 미션을 수행하며 숲길을 따라 이동했다. 흙을 밟고 바람을 느끼며 숲의 소리를 듣는 활동은 오감을 자극하고 생태 감수성을 길러주는 교육적 효과를 높였다. 미션을 완료한 아이들에게는 완주 메달이 수여돼 성취감도 더해졌다. 산불예방을 주제로 한 캠페인도 함께 진행돼, 숲을 지키는 생활 실천의 중요성을 자연스럽게 배울 수 있는 시간으로 이어졌다. 행사 관계자는 “아이들이 단순한 체험을 넘어 숲과 함께 살아가는 법을 배우는 의미 있는 자리였다”
thumbnail - 최유희 서울시의원 “아이들과 숲으로!”…남산 숲길 대회 동행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2 / 5
연예인들의 음주방송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최근 방송인 전현무 씨와 가수 보아 씨가 취중 상태에서 인스타그램 라이브 방송을 진행하면서 논란이 됐습니다. 요즘 이렇게 유명인들이 SNS 등을 통한 음주방송이 하나의 트렌드가 되고 있는데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음주를 조장하는 등 여러모로 부적절하다.
자연스러운 모습으로 대중에게 다가가는 방법 중 하나다.
1 / 5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