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카이치보다 시진핑과 먼저 통화
“동아시아 지역 잘되고 있다” 강조
동맹국 ‘日 공개 지지’ 언급은 없어
워싱턴DC AFP 연합뉴스
추수감사절 ‘칠면조 사면식’
도널드 트럼프(가운데) 미국 대통령이 25일(현지시간)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열린 ‘칠면조 사면식’에서 국가 추수감사절 칠면조로 선정된 ‘고블’을 사면하는 모습을 영부인 멜라니아(오른쪽) 여사가 지켜보고 있다.
워싱턴DC AFP 연합뉴스
워싱턴DC AFP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중일 정상 연쇄 통화를 둘러싸고 일본에서는 미국의 방향성을 읽기 어렵다는 불안이 확산하고 있다.
26일 교도통신에 따르면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대통령 전용기 안에서 중일 정상과 각각 전화 회담을 했다며 동아시아 지역은 “잘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 근거는 제시하지 않았다.
전날 신화통신은 트럼프 대통령이 시진핑 주석에게 “미국은 중국에 있어 대만 문제의 중요성을 이해한다”고 했다고 전했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은 시 주석과 통화 내용을 소개한 소셜미디어 글에서 대만 문제나 중일 갈등에 대해 거론하지 않았다.
이에 일본에서는 중일 갈등 상황에서도 트럼프 대통령이 동맹인 일본에 대한 지지를 명확히 하지 않고 중국과의 관계 개선을 의식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아사히신문는 “다카이치 사나에 총리가 트럼프 대통령으로부터 미중 정상 통화 내용을 사후에 보고받는 형태가 됐다”고 지적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미국과 중국을 ‘G2’(주요 2개국)로 규정한 점도 일본을 긴장시키는 요소라고 신문은 짚었다. G2 발언은 태평양을 미중이 나눠 관리하는 구상으로 일본이 결코 수용할 수 없는 접근이라는 것이다.
통화 순서가 중국이 앞선 것을 두고도 마이니치신문은 “중국이 앞으로도 미국과의 선제적 접촉으로 일본을 뒤로 밀어낼 수 있다는 신호”라고 해석했다. 다만 요미우리는 중국과의 통화 직후 다카이치 총리와도 전화한 점을 들어 “미국이 중국에 기울었다고 단정할 수는 없다”고 진단했다.
한편 다카이치 총리는 “중국의 대만 해상봉쇄는 일본 존립위기“라고 한 자신의 발언이 중일 관계를 악화시켰다는 지적에 대해 “정부 공식 견해 범위에서 성실히 답한 것일 뿐”이라며 책임을 부인했다.
다카이치 총리는 이날 당수토론에서 관련 질문에 “예산위원회에서 질문자가 ‘대만 유사시’와 ‘해상 봉쇄’를 특정해 물었고 같은 답변만 반복하면 심의가 정지될 우려가 있었다”며 “국회의원은 전 국민의 대표이고 구체적 사례를 제시해 질문한 만큼 그 범위 안에서 성실히 답했다”고 말했다.
2025-11-27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