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3개주, 폴크스바겐에 소송…“1999년부터 조작, 수십명 가담”

美 3개주, 폴크스바겐에 소송…“1999년부터 조작, 수십명 가담”

입력 2016-07-20 11:00
업데이트 2016-07-20 13:5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뉴욕 검찰총장 “교활한 사기”…“뮐러 CEO도 2006년에 배출가스 이슈 알았다”

폴크스바겐(VW)이 19일(현지시간) ‘디젤 스캔들’과 관련해 미국의 뉴욕, 매사추세츠, 메릴랜드 등 3개 주로부터 민사소송을 당했다.

뉴욕타임스와 파이낸셜타임스 등에 따르면 이들 주의 검찰총장들은 폴크스바겐의 배출가스 조작이 10년 넘게 이어진 조직적인 사기로, 수십 명이 얽혀있으며 최고 상층부까지 올라간다고 이날 지적했다.

또 마티아스 뮐러 현 최고경영자(CEO)도 2006년에 배출가스 이슈에 대해 보고받았다고 덧붙였다. 그가 디젤 스캔들에 연루된 것으로 알려진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에릭 슈나이더먼 뉴욕주 검찰총장은 폴크스바겐의 조작장치 이용이 “광범위한 모의”에 의한 것이었다면서 “교활하고 자기 이익만 생각한 사기행위”가 이뤄졌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세계적인 대기업에서 이 정도의 상층부에서 이렇게나 많은 사람이 이런 수준의 사기에 관련됐다는 것은 끔찍하다”고 강조했다.

그가 4억5천만달러의 배상을 청구한 소장에 따르면 배출가스 테스트 조작 소프트웨어를 사용한 결정은 1999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고 월스트리트저널은 전했다. 폴크스바겐그룹의 럭셔리 브랜드인 아우디의 엔지니어들이 디젤 엔진의 소음을 줄이기 위한 ‘파일럿 인젝션’이라는 기술을 개발했던 때다.

디젤스캔들에 대한 관심이 폴크스바겐 브랜드에 더 맞춰져 있지만, 조작장치 사용은 아우디 브랜드에서 시작됐다고 뉴욕 검찰은 지적했다.

소음 감소 기술을 탑재한 차량이 유럽의 환경기준 허용치를 초과하자 아우디는 문제를 해결하려고 테스트 과정에서 이 장치를 꺼버리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했으며, 이 조작장치를 2004년부터 출시한 디젤차에 탑재했다고 소장에 나온다.

또 뮐러 CEO는 아우디의 프로젝트 매니저였던 2006년에 엔지니어들이 미국의 엄격한 질소산화물 배출 규정을 충족시키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사실을 보고받았다고 뉴욕주는 소장에서 주장했다. 다만 그가 조작장치의 사용에 대해 알고 있었거나 이를 승인했다고는 하지 않았다.

슈나이더먼 총장은 폴크스바겐의 서류와 이메일, 증언 등을 통해 “계획적이고 조직적인 속임수의 책략”을 허용하는 기업문화가 있었다고 비판했다.

뉴욕주 검찰은 엔지니어와 경영진 등 20명 이상이 조작에 가담했다고 했다. 폴크스바겐과 아우디의 엔진·변속기 개발 책임자였던 볼프강 하츠, 아우디의 개발 책임자 울리히 하켄베르크, 폴크스바겐 개발을 지휘한 하인즈 야콥 노이서 등이 거명됐다. 독일 검찰과 언론에 따르면 마르틴 빈터코른 전 CEO도 관여한 것으로 나온다.

소장에 따르면 디젤 스캔들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것은 2006년 말이다. 폴크스바겐은 이때 아우디가 개발한 장치를 제타와 골프 등 여러 차종의 수십만 대에 장착했다는 것이다.

빈터코른과 뮐러는 아우디의 고위직에 있던 2006년에 이 브랜드의 배기량 3천㏄짜리 디젤 엔진이 미국 기준을 충족하려면 추가 장치가 필요하다는 보고를 받았다고 뉴욕 검찰은 소장에서 주장했다.

특히 공기 중에서 오존, 암모니아 등과 결합해 미세먼지를 만들어내는 질소산화물을 줄일 수 있는 요소수를 실을 큰 탱크가 필요했다. 하지만 폴크스바겐과 아우디는 차를 다시 설계하는 데 돈을 쓰고 싶어 하지 않았고, 그 대신 조작장치를 쓰기로 했다는 것이다.

또 소장에 따르면 폴크스바겐은 조작의 꼬리가 밟히자 사태를 덮는 데 총력을 다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4년 웨스트버지니아대의 연구에서 폴크스바겐 제타와 파사트 등 2개 차종이 고속도로에서 실험실보다 40배 많은 배출가스를 뿜은 것으로 밝혀진 이후 회사 측은 은폐를 꾀했다.

이메일 등에서는 절박함과 공포가 엿보이기도 했다. 캘리포니아 당국의 추궁을 받은 한 임원은 동료에게 이메일로 “(배출가스에 대해 설명할 수 있는) 이야기를 제발 내놓으라”고 했다.

폴크스바겐은 미국과 독일에서 각각 투자자와 소비자로부터 소송을 당했다. 미국과 독일, 한국에서 형사 재판도 받아야 한다.

미국에서 소비자 피해를 배상하기 위해 147억 달러(약 17조4천억원)를 내기로 합의한 폴크스바겐은 이번 소송으로 추가적인 금전적 손해를 볼 수 있다. 아울러 기업 이미지가 더 떨어지고 현 경영진도 타격을 입을 수 있는 상황에 부닥쳤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