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카 바이러스, 임신 기간 관계없이 태아에 손상 가능성”

“지카 바이러스, 임신 기간 관계없이 태아에 손상 가능성”

입력 2016-03-09 03:30
업데이트 2016-03-09 03: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브라질 연구재단-미국 대학 공동연구…“지카와 소두증 연관성 입증”

지카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임신 기간과 무관하게 태아에 손상을 입힐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8일(현지시간) 브라질 언론에 따르면 브라질의 오스바우두 크루스 의료재단(Fiocruz)과 미국 캘리포니아 대학의 공동 연구 결과 지카 바이러스가 임신 기간에 관계없이 태아에 나쁜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금까지는 주로 임신 초기에 지카 바이러스에 감염됐을 때 신생아 소두증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졌다.

연구진은 지카 바이러스 감염이 확인된 임신부 42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를 통해 태아의 29%에서 발육 부진과 중추신경계 변화 등 증세가 나타났다고 전했다.

이 같은 연구 결과는 지난 5일 의학 전문지 ‘뉴잉글랜드 저널 오브 메디신’(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온라인판에도 소개됐다.

브라질 북동부 바이아 연방대학 의과대의 루이스 코헤아 교수는 “소규모로 진행된 연구이기는 하지만, 지카 바이러스와 소두증의 연관성을 입증해주는 결과”라고 말했다.

브라질에서는 지난해 10월 이후 지금까지 5천909명의 소두증 의심 사례가 보고됐고, 이 가운데 소두증 확진 신생아는 641명이다. 소두증 확진 신생아 가운데 지카 바이러스와 연관성이 확인된 신생아는 82명이다. 의심 사례 가운데 1천46명은 정상으로 확인됐고 4천222명은 조사 중이다.

한편, 브라질 최대 도시 상파울루 보건 당국은 임신 30주째인 여성이 여행하지 않았는데도 지카 바이러스에 감염된 사실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올해 28세인 이 여성은 임신을 전후해 상파울루 시를 벗어난 적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초음파 검사에서 임신부의 태아는 다행히 소두증 증세를 보이지는 않은 것으로 알려졌으나, 정밀검사를 받기 위해 병원에 입원한 상태다.

앞서 브라질 보건부의 클라우지우 마이에로비치 전염성 질병 감시국장은 지카 바이러스 감염과 소두증 신생아 확진 사례가 브라질 전국으로 확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마이에로비치 국장은 상파울루를 포함한 남동부 지역이 상대적으로 덜 취약하기는 하지만, 지카 바이러스로부터 완전히 안전하다고 할 수 없다고 말했다.

특히 지카 바이러스가 주요 매개체로 알려진 ‘이집트 숲 모기’ 외에 일반 모기를 통해서도 감염될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된 상황이어서 보건 당국이 긴장하고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