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시리아 군사개입時 사이버공격 병행 유력”

“미국, 시리아 군사개입時 사이버공격 병행 유력”

입력 2013-09-05 00:00
업데이트 2013-09-05 03:4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군사정보 해킹, 선전전 등에 활용 전망

미국이 시리아에 대한 군사개입을 단행할 경우 사이버공격을 병행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분석됐다.

의회전문매체 ‘더 힐’(The Hill)은 4일(현지시간) 버락 오바마 행정부가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고 있으나 군사작전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사이버공격은 불가피하다는 게 대다수 전문가의 관측이라고 전했다.

해킹을 통해 시리아정권의 화학무기 등 군사 정보를 빼내는 것은 물론 악성 소프트웨어를 활용해 미사일방어 시스템을 교란하는 등 적극적인 공격도 가능하다는 것이다.

또 이메일과 문자메시지 등을 보내는 방식으로 시리아정부 관료들의 분열을 부추기는 선전전도 펼칠 것으로 예상됐다.

국방부 관료 출신의 크리스 피넌 트루먼국가안보프로젝트 연구원은 “국가안보국(NSA)과 같은 정보기관이 시리아에서 사이버공격의 선봉에 설 것”이라면서 “군(軍)은 사이버역량에서 훨씬 앞서 있는 정보기관에 절대적으로 의존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워싱턴DC 소재 싱크탱크인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의 짐 루이스 연구원도 “사이버공격에 나설 게 확실하다”면서 “공습이 이뤄진다면 사이버 지원이 있다고 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특히 미국 정보 당국이 지난 2011년에만 231건의 사이버공격을 감행했다는 워싱턴포스트(WP)의 최근 보도를 언급하면서 시리아에서도 이런 자산을 활용할 것으로 전망했다.

그러나 방공시스템 교란을 위한 사이버공격에 대해서는 전문가들의 의견이 엇갈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위한 첨단 컴퓨터바이러스를 개발하는 데 수백만달러가 필요한데 통상적으로 단 한차례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대규모 작전을 위해 아껴둘 필요가 있다는 이유에서다.

애덤 시걸 미국외교협회(CFR) 연구원은 “크루즈미사일로 방공망을 무력화하는 게 더 빠르고 더 쉬울 것”이라면서 “컴퓨터바이러스를 이용한다면 결국 적이 이를 찾아내 복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