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교포’와 승진 거부권/임창용 논설위원

[씨줄날줄] ‘교포’와 승진 거부권/임창용 논설위원

임창용 기자
임창용 기자
입력 2016-07-14 23:12
업데이트 2016-07-15 00:3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교포’들 때문에 골치 아파 죽겠어.”

동문 모임에서 옆자리에 앉은 친구가 하소연을 늘어놓았다. 그는 공모제로 40대 후반에 고등학교 교장이 됐다. 교감·교장 승진을 포기한 고참 선생님들을 ‘교포’라고 부른다고 했다. 그에 따르면 ‘교포 선생님’들은 생활·교육 여건이 비교적 잘 갖춰진 지역에 많다. 강남이나 분당이 대표적이다. 그의 학교도 분당에 있다. 분당에 자리 잡은 교포 선생님들은 분당 내, 혹은 분당 인접 지역의 학교만 빙빙 돌면서 전근을 반복한다. 남들이 꺼리는 오지엔 갈 생각이 없다. 이들은 대부분 학교 혁신에도 소극적이다. 대신 승진에 필요한 가점도 포기한다. 의욕 넘치는 교장으로선 분통 터질 노릇이다. 교사들을 장악할 수 있는 가장 큰 무기가 가점인데, 무용지물이기 때문이다.

직장인에게 승진은 최고의 가치로 여겨진다. 제때 승진해야 주뼛대지 않고 명함을 내밀 수 있다. 직원들을 거느리는 권력도 쥔다. 연봉이 올라가니 가족들 앞에서 어깨를 편다. 거듭된 승진 누락은 패배의 상징이다. 드라마에서도 만년 대리, 만년 과장 이미지는 측은하고 초라하다. 일을 죽으라고 하든, 아부를 하든 승진을 위해 매달릴 수밖에 없다. 그만큼 조직에서 승진은 강력한 인센티브로 작동한다.

한데 교포 선생님들의 경우처럼 승진이 인센티브로 작동하지 않는 곳이 늘고 있다. 삶에 대한 가치, 직장에 대한 인식이 바뀌면서 생긴 현상이다. 대기업과 금융권 일각에선 임원 승진을 기피하는 풍조가 나타나고 있다. 2년 전 하나금융에선 임원 승진 대상 직원들이 승진 거부 의사를 표명해 받아들여졌다. 임원은 계약직이라 2년 임기 후 성과가 낮으면 나가야 하고, 책임만 많다는 인식이 생겼기 때문이다. 부장급으로 정년을 채우는 실속을 선택한 것이다. 직급 체계가 엄격한 공무원 사회에서도 비슷한 움직임이 있다. 일반직 고위공무원의 맨 꼭대기에 있는 1급(현행 가급) 승진을 기피하는 현상이다. 수년 전 행정자치부에선 2급 공무원이 1급 승진 제의를 거절한 적이 있다. 1급은 중앙 부처 실장 보직에 해당한다. 보직을 내놓으면 공직을 마감해야 하는 사실상의 정무직이다. 결국 언제 사표를 내야 할지 모르는 1급으로 승진하느니 안정적인 2급에 만족하겠다는 것이다.

현대자동차 노조가 그제 파업을 결의했다. 노조의 요구 사항 중 ‘승진 거부권’이 눈길을 끈다. 일반·연구직 직원들이 과장 진급을 거부할 권리를 달라는 의미다. 현대차에서 일반·연구직은 간부급인 과장으로 승진하면 노조를 탈퇴해야 한다. 생산직은 직급이 올라가도 조합원 자격이 유지된다. 승진해 고용이 불안정한 관리자가 되느니, 노조의 울타리 안에서 정년을 보장받겠다는 것이다. 회사 측이 거부하고 있어 성사 여부는 미지수다. 관철된다면 권리로써 관리자 되기를 포기한 첫 ‘관포’ 직원들을 보게 될 것 같다.

임창용 논설위원 sdragon@seoul.co.kr
2016-07-15 3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