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교통약자석/전경하 논설위원

[길섶에서] 교통약자석/전경하 논설위원

전경하 기자
전경하 기자
입력 2019-08-14 22:06
업데이트 2019-08-15 01:1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출퇴근 만원버스에서 요즘은 한여름이라 옷을 가볍게들 입다 보니 고마운, 볼록한 배가 가끔 보인다. 그날도 퇴근 무렵 기온이 30도에 육박하던 날이었다.

광화문에서 강남 가는 퇴근버스는 만원이었다. 뒷문으로 탄 임신부는 정류장마다 열리는 문앞에서 위치를 계속 바꿨다. 뒷문 쪽 교통약자배려석 근처에 서 있던지라 임신부 위치를 나랑 바꿨다. 그런데 교통약자배려석에 앉아 있는, 40대쯤으로 보이는 남성은 스마트폰에 눈을 박고 검색만 할 뿐 일어나지 않았다. 만원버스라도 주변에 누가 서 있는지 감이 올 텐데 그냥 모르쇠다. 그 머리를 쥐어박고 싶었지만 그럴 수는 없어 계속 노려봐도 옆에 눈길 한번 주지 않았다.

만원버스나 만원지하철에서 교통약자배려석을 비워두긴 어렵다. 그래서 필요한 사람이 오면 양보하라고 스티커를 붙여 놨을 거다. 자리에 앉아서 스마트폰에 고정된 눈을 잠시라도 들면 지하철에서는 내 앞에 선 사람이 보이지만, 버스는 앞에 앉은 사람 뒤통수와 앞좌석 뒷면만 보인다. 교통약자를 배려하라는 스티커, 버스에서는 좌석 옆이 아니라 앞좌석 뒷면이 맞는 자리다. 그러면 잠시 앉았던 자리를, 원래 주인에게 양보하는 경우가 늘어나지 않을까. 그래도 안 일어나면? 강제라도 하고 싶다.

lark3@seoul.co.kr

2019-08-15 25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