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가영의 장호원 이야기] 함박눈

[신가영의 장호원 이야기] 함박눈

입력 2020-12-15 17:12
업데이트 2020-12-16 03:5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신가영 화가
신가영 화가
오랜만에 세상이 하얗다. 겨울 가뭄이 길게 이어지다 함박눈이 한없이 내리니 그 풍경에 눈을 거두기 어렵다. 새삼 한겨울 눈 쓸며 고생했던 일이 언제였던가 싶다. 겨울만 되면 눈 치우는 일이 걱정될 정도였는데 생각해 보면 몇 년 사이 눈 때문에 고생한 기억이 별로 없다.
이미지 확대
올여름 고생했던 8월 장마처럼 기후변화는 이미 현실인 것. 건넛집에서 눈 쓰는 소리가 들려온다. 눈삽과 빗자루 들고 나서는데 고양이들이 먼저 쌓인 눈에 발자국을 찍는다. 영하로 떨어지는 날씨여도 눈이 녹는 자리가 있고 영상으로 올라가도 녹지 않는 자리가 있다. 우선 마당식구들에게 가는 길 쓸어내고 그늘져 빙판이 될 자리 눈도 치웠다.

모자에 쌓인 눈을 털어내고 어깨에 쌓인 눈도 툭툭 털어내며 집으로 들어오니 안경에 하얗게 김이 서린다.

엄마가 방금 쪄낸 만두를 그릇에 담아내어 주신다.

날이 추워지니 마실 나간 고양이들이 일찍 들어온다. 그 뒤로 새로 집에 거주하게 된 꼬마 냥들이 따라 들어온다. 데크에 집을 마련해 주었는데도 연신 집안으로 들어와 놀기 바쁘다. 아직도 어린 녀석들인데 밖은 더 추워지지만 쫓아내기 바쁘다. 그러다 굴러온 돌이 박힌 돌 빼낸다고 집고양이를 공격할 것이라는 걱정들이 쌓여 간다. 기존에 길고양이 두 마리도 밥 달라고 따라 들어온다. 한 녀석은 여전히 집고양이들을 공격해서 집에 들어오면 경계하는 소리가 심하다. 처지라는 것이 하늘에서 정해진 것이 아닌 바, 그들도 살아갈 수 있어야 하는데 굳이 집안에 들어오지 않게 할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일지 고민하고 있다.

‘무조건 쫓아내 버리자’, ‘밥은 챙겨 줘도 집안에 들어오게는 하지 말자’, ‘9마리 고양이도 있는데 그들이 함께하지 말라는 법도 없다’. 어떤 것을 선택해도 답일 수 있으나 원망을 피할 수도 없지 싶다. 어떤 관계로 살아가든 함께 살아갈 수밖에 없는 일. 꼬마 냥이 작은 공을 갖고 신나게 놀고 있다.

금방 쫓겨나도 또 들어와서 모두가 지켜보는 가운데 천진난만하게 놀고 있는 어린 고양이. 그 모습을 보자 하니 절로 빙그레 웃게 된다. 그저 그렇게 자연스레 어우러져 살면 얼마나 좋을까.
2020-12-16 2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