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창석 KT 네트워크 부문 부사장이 17일 서울 종로구 KT광화문빌딩 웨스트에서 소액결제 및 개인정보 유출 피해 관련 전수 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민나리 기자
KT가 정식 관리하지 않는 불법 기지국(펨토셀) 접속으로 인한 개인정보 유출 의심 및 무단 소액결제 피해 규모가 대폭 확대된 것으로 확인됐다.
KT는 17일 서울 광화문 사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전수 조사 결과 불법 기지국 ID가 4개에서 20개로 증가했으며, 해당 기지국에 접속한 이력이 있는 이용자는 2만 2227명에 달한다고 발표했다. 무단 소액결제가 일어난 지역은 강원도까지 확산된 것으로 나타났다.
KT의 전수 조사 결과에 따르면, 불법 펨토셀 ID는 기존 4개에서 16개가 추가되어 총 20개로 5배 늘어났다. 해당 불법 ID에 접속 이력이 있는 개인정보 유출 정황 고객(접속 IMSI 수 기준)은 기존 2만 30명에서 2197명이 추가되어 총 2만 2227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휴대전화와 기지국 간 접속 기록 약 4조 300억건을 분석한 결과다.
불법 기지국을 통한 개인정보 유출 정황은 지난해 10월 8일부터 시작된 것으로 조사됐으나, 최초 발견 시점은 현재 검증 중이다. 무단 소액결제 피해는 당초 확인된 8월 5일 이후 시작됐으며, 지난달 5일 비정상 결제 차단 이후 새로운 피해는 발생하지 않았다.
추가로 확인된 16개 ID 중 1개 ID에서만 6명을 대상으로 319만 원의 무단 소액결제 의심 건이 발생했다. 거기다 불법 기지국 접속 지역이 서울, 경기 등 기존 무단 소액결제 발생 지역을 넘어 강원 지역까지 확장된 것으로 나타났다.
KT는 경찰이 범행 일당으로부터 압수한 불법 기지국 장비 외에 추가 장비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구재형 KT 네트워크기술본부장은 “수사 진행 중이라 (확인되면) 밝힐 수 있으나, 있을 수는 있다”고 답변하며, 불법 장비를 통한 피해 규모가 더 커질 수 있음을 시사했다.
KT는 전수 조사를 확대하여 기존 ARS 인증 외에 SMS 인증을 통한 무단 소액결제 63건이 새로 발견되었음을 확인했다. 조사 기간 역시 2024년 8월 1일부터 올해 들어 지난 9월 10일까지로 확대해 약 1억 5000만 건의 결제 내용을 분석했다.
KT는 불법 기지국 접속 이력이 확인된 2만 2227명의 고객을 대상으로 유심 교체와 유심 보호 서비스 가입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다만 전체 일반 고객을 대상으로 유심 교체나 보호 서비스를 확대할 계획이 있는지에 대해서는 유보적인 태도를 보였다.
김영걸 KT 서비스프로덕트본부장은 “피해 보신 고객들 금전적 피해 보상하는 것들, 향후 문제가 생길 수 있는 부분들에 대해서 보험 가입하는 것들, 유심 교체라든지 유심 보호 서비스 하는 부분들에 집중을 하고 있다”며, 일단은 피해 고객 케어에 집중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KT는 위약금 면제는 민관 합동 조사단의 조사 결과와 고객 피해 상황을 고려해 검토할 계획이며, 정부 조사 및 경찰 수사에 성실히 협조하고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