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럭시 노트7 단종…중고폰 ‘리퍼비시 폰’으로 파는 것도 불가능

갤럭시 노트7 단종…중고폰 ‘리퍼비시 폰’으로 파는 것도 불가능

이슬기 기자
입력 2016-10-11 20:26
업데이트 2016-10-11 20: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갤럭시 노트7 단종
갤럭시 노트7 단종 삼성전자가 ‘갤럭시노트7’ 새 제품에 대한 생산을 일시 중단한 11일 서울 서초구 삼성전자 서초사옥 내 삼성 디지털프라자의 갤럭시노트7 체험테이블이 한산하다. 2016. 10. 11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삼성전자 갤럭시노트7이 데뷔 70일만에 공식 단종의 길을 걷게 됐다.

삼성전자는 11일 한국거래소의 조회공시에서 갤럭시노트7의 생산 중단을 최종 결정했다고 밝혔다. 생산 중단은 단종을 공식 의미한다.

갤럭시노트7는 8월 2일 미국 뉴욕에서 최초로 공개돼 같은달 19일 한국과 미국 등에 시판되기까지 많은 기대를 한몸에 받았다. 삼성전자가 제조한 스마트폰중 디자인과 성능에서 최고라는 찬사도 잇따랐다.

그러나 발매 직후부터 한국과 미국 등에서 배터리 발화 사례가 이어지면서 인기 가도에 먹구름이 드리웠다. 삼성전자는 일단 생산을 중단하고 9월 2일 자체 리콜을 발표했으며, 9월 15일에는 최대 시장인 미국에서 연방정부기구인 소비자제품안전위원회(CPSC)의 공식 리콜이 발령됐다.

삼성전자는 문제의 원인이 배터리 결함이라고 보고 9월 하순부터 새로운 배터리를 쓴 새 갤럭시노트7의 판매를 재개했지만, 새 기기들에도 계속해서 발화 사례가 보고됐다.

결국 지난 주말을 고비로 안전 문제를 우려한 미국 등의 이동통신사들과 베스트바이 등 판매점들이 일제히 등을 돌리며 ‘선제적으로’ 판매·교환 중단을 선언함에 따라 삼성전자는 갤럭시노트7을 더 이상 팔기 어려운 상황이 됐다.

또 이미 리콜을 한 차례 한 후 안전하다고 공언하며 공급했던 새 기기에서도 문제가 발생함에 따라, 삼성전자가 “세번째는 안전할 것”이라고 각국 규제 당국을 설득해 판매를 재개하는 것도 사실상 어려운 상황이 됐다.

제품이 아예 단종됨에 따라 수거된 갤럭시노트7을 중고폰인 ‘리퍼비시 폰’으로 파는 것도 불가능한 것으로 관측된다. 따라서 리콜 전후에 만들어져 세계 시장에 풀린 380만대 가량은 모두 폐기될 것으로 전망된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