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동산 원유 의존도 큰 한국 직격탄… ‘인플레 공포’까지 덮치나

중동산 원유 의존도 큰 한국 직격탄… ‘인플레 공포’까지 덮치나

강동용 기자
입력 2025-06-23 23:58
수정 2025-06-23 23:5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호르무즈해협 봉쇄 위기 현실화

공급 차질 땐 유가·물가 연쇄 상승
李 “중동 상황 대비 추경 반영 검토”
원재료값 올라 석화업계 이윤 감소
유류 할증료 올라 항공업계도 타격
이미지 확대
지도 보며 회의하는 이란 육군 총사령관
지도 보며 회의하는 이란 육군 총사령관 23일(현지시간) 이란 육군 전쟁사령부인 줄피카르 중앙사령부에서 아미르 하타미(왼쪽) 육군 총사령관이 고위 지휘관들과 지도를 보면서 군사작전 회의를 주재하는 모습이 공개됐다. 하타미 사령관은 이 자리에서 “시온주의자들에게 타격을 가하겠다”고 밝혔다.
테헤란 AFP 연합뉴스


호르무즈해협에 대한 봉쇄 우려가 커지면서 국제 유가가 들썩이고 있다. 사태가 장기화하면 중동산 원유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한국으로선 ‘인플레이션 쇼크’에 맞닥뜨릴 수 있어 정부와 재계 모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은 23일 취임 후 첫 수석보좌관회의를 열고 “중동의 상황이 매우 위급하다”며 “전 부처가 비상대응체계를 갖춰 비상 대응을 해야 할 것”이라고 지시했다. 이어 “2차 추가경정예산(추경)안에 관련 대책을 반영하는 방법도 검토하라”고 주문했다.

기획재정부는 이날 이형일 장관 직무대행 1차관 주재로 관계기관 합동 비상대응반 회의를 열고 “향후 사태 전개의 불확실성이 매우 큰 상황”이라며 “유가 상승에 편승한 불법행위를 철저히 감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호르무즈해협은 중동 원유의 주요 수송로다. 호르무즈해협을 통한 석유 운송량은 지난해 기준 하루 평균 2000만 배럴로, 세계 석유 소비량의 약 20%에 이른다. 액화석유가스(LNG)는 전 세계 운송량의 20%가 이곳을 지난다. JP모건은 이란이 호르무즈해협을 봉쇄하고 충돌이 중동 전역으로 확대되면 국제 유가가 배럴당 최대 130달러까지 치솟을 것으로 내다봤다. 이날 뉴욕상업거래소에서 서부텍사스산원유(WTI) 선물 가격은 전장보다 6% 넘게 뛴 배럴당 78.4달러를 찍기도 했다.

이미지 확대


중동 원유 의존도가 큰 국내에선 물가 상승 압박이 커진다. 한국이 올해 들어 5월까지 수입한 원유 총 5643만t 가운데 3894만t(69%)이 호르무즈해협을 지났다. LNG는 총 1999만t 중 328만t(16.4%)이 이곳을 경유했다. 호르무즈해협 차단으로 수송에 차질이 생기면 국내 유가가 흔들리고, 업계 물류비와 생산 원가가 연쇄 상승하면서 물가가 출렁이게 된다.

지난해 산업연구원에 따르면 호르무즈해협 봉쇄 땐 국내 전 산업 생산비용은 3.02%, 제조업과 서비스업 생산비용은 각각 5.19%, 1.39%씩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석유공사는 이날 우리나라가 정부와 민간 부문을 합해 국제에너지기구(IEA) 권고 기준인 90일분을 웃도는 총 206.9일분의 비축유를 보유하고 있다고 밝혔다.

유가 영향이 큰 석유화학업계와 항공업계는 비상이 걸렸다. 가뜩이나 중국발 공급 과잉으로 불황에 빠진 석유화학업계는 유가 상승으로 원재료 가격이 오르면 이윤 감소가 불가피하다. 항공업계도 유류 할증료가 급등하면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다. 항공사는 통상 영업비용의 25~30%를 유류비로 지출한다.
2025-06-24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