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말랐던’ 국산 명태의 귀환

‘씨말랐던’ 국산 명태의 귀환

강주리 기자
강주리 기자
입력 2016-10-11 23:06
업데이트 2016-10-12 03: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세계 첫 완전 양식 성공… 2018년부터 밥상에 오를 듯

무차별적인 남획과 기후 변화로 동해안에서 자취를 감춘 ‘국산 명태’가 2018년부터 우리 밥상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

7.6일 지난 부화기→10일된 명태 치어→140일짜리 명태 치어→2년 지난 명태
7.6일 지난 부화기→10일된 명태 치어→140일짜리 명태 치어→2년 지난 명태 국립수산과학원은 11일 동해안에서 사라진 명태를 수정란에서 부화시켜 키운 다음 다시 알을 생산하도록 하는 기술인 완전양식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수정란 부화→어미로 키워→알 생산

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은 세계 최초로 명태의 ‘완전 양식’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고 11일 밝혔다. 완전 양식은 수정란에서 부화시켜 기른 명태 새끼를 어미로 키워 다시 알을 생산하도록 하는 단계까지의 기술이다. 명태의 인공양식 기술은 기존 일본의 1세대 인공종자 생산 기술 외에 별다른 진전이 없었다.

해수부는 지난해 어미 1마리로부터 수정란 53만 립(부피 단위)을 확보해 1세대 인공종자를 생산한 뒤 200여 마리를 선별해 산란이 가능한 어미(35㎝ 이상)로 키웠다. 이 가운데 7마리가 지난달 18일부터 산란에 성공했다. 여기서 부화한 3만여 마리가 0.7㎝까지 성장했다.

강준석 국립수산과학원장은 “명태는 크기가 0.7㎝를 넘어서면 폐사율이 급격히 줄어들고 생존율이 높아져 완전양식이 성공했다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특히 새끼에서 산란이 가능할 정도로 성숙되는 기간이 1년 8개월로 3년이나 걸리는 자연 상태보다 크게 단축돼 경제성도 확보했다. 윤학배 해수부 차관은 “양식은 성장이 너무 오래 걸리면 경제성이 떨어지는데 2년가량 당긴 건 좋은 결과”라면서 “2018년에는 대량 상업생산이 가능할 것이며 내년에는 15억원의 예산을 들여 명태 종자 전문생산시설을 구축하고 양식업자들에게 인공 종묘를 분양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생태 가격은 1㎏당 7000~1만원으로 동태보다 3배가량 비싸다.

이미지 확대
●1년 8개월 걸려… ‘경제성’도 확보

1980년대까지만 해도 어획량이 연평균 7만 4000t에 이르는 등 동해 수산자원의 30%를 차지했던 명태는 지구 온난화와 명태 새끼인 ‘노가리’의 남획으로 지금은 어획량이 1~2t 수준으로 급감했다. 국내에 유통되는 명태는 대부분 러시아에서 수입한 것이다. 명태는 잡아 얼린 것을 뜻하는 ‘동태’부터 아가미를 빼내고 코를 꿰어 얼린 ‘코다리’까지 불리는 이름이 30여 가지나 되는 국민 생선이었다.

세종 강주리 기자 jurik@seoul.co.kr
2016-10-12 2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