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 in 비즈] 레이쥔 샤오미 회장 방한, 호들갑 떨 일 아니다

[비즈 in 비즈] 레이쥔 샤오미 회장 방한, 호들갑 떨 일 아니다

김헌주 기자
김헌주 기자
입력 2016-07-14 23:12
업데이트 2016-07-15 01:4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김헌주 기자
김헌주 기자
레이쥔 샤오미 회장이 삼성전자와 사업 협력을 논의하기 위해 지난 13일 방한했습니다. 공식적으로 삼성전자를 방문하는 것은 처음이라고 합니다. 그래서인지 그의 행보에 관심이 쏠립니다.

누구를 만나고 어떤 논의를 할지 온갖 추정도 난무합니다. 일부에서는 레이쥔 회장의 숙소를 공개하기도 했습니다. 비즈니스를 하러 온 레이쥔 회장으로서는 뜨거운 관심이 부담이 될 수 있겠지만 한편으론 고마울 수도 있을 겁니다. 협상력을 높여 줄 수 있어서입니다.

저가 스마트폰 시장에서 돌풍을 일으켰던 샤오미는 최근 위기에 몰려 있습니다. 화웨이의 독주 속에 오포, 비보와 같은 신규 업체들이 무섭게 성장하면서입니다. 지난 1분기 샤오미의 중국 스마트폰 출하량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9%가 줄었습니다. ‘대륙의 실력’으로 평가받는 샤오미를 과소평가해서도 안 되지만 과대평가도 금물인 이유입니다.

반격이 필요한 샤오미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기반 스마트폰을 준비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러려면 OLED의 안정적인 공급이 필수입니다. 이 때문에 샤오미는 삼성전자와 스마트폰용 OELD 공급을 놓고 실무진 사이에서 계속 협의를 해 왔다고 합니다. 그러나 협상 과정에서 샤오미 쪽의 무리한 요구 때문에 삼성전자가 난색을 표했고, 협상은 더이상 진척되지 않았다고 전해집니다. 레이쥔 회장이 직접 삼성전자를 방문한 것도 어색한 관계를 풀기 위한 제스처로 이해됩니다.

샤오미는 삼성디스플레이로부터 TV용 OLED 제품을 공급받은 적은 있지만 스마트폰에 들어가는 액정표시장치(LCD)는 LG디스플레이 제품을 써 왔습니다.

그러나 샤오미는 LG디스플레이와의 OLED 공급 협상에서도 공격적인 요구로 LG와 갈등을 빚었던 것으로 알려집니다. 레이쥔 회장이 한상범 LG디스플레이 부회장에게 “기회를 주겠다”면서 “OLED를 공급해 달라”고 한 게 화근이 됐다고 합니다.

삼성 입장에서도 레이쥔 회장과의 협상 과정에서 굳이 주도권을 내줄 이유가 없습니다. 샤오미의 OLED 제품은 아직 시장에서 검증된 적이 없으며, 출시 날짜조차 불분명하기 때문입니다. 어쩌면 레이쥔 회장을 비즈니스호텔에 머물게 한 것도 그만큼 삼성의 샤오미에 대한 기대가 크지 않아서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김헌주 기자 dream@seoul.co.kr
2016-07-15 2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