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블로그] 외국 진출 성공한 ‘관계형 금융’의 힘

[경제 블로그] 외국 진출 성공한 ‘관계형 금융’의 힘

이유미 기자
입력 2015-02-13 23:54
업데이트 2015-02-14 01:0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영업사원 오토바이 고객 접촉… 우리銀 캄보디아대출업 70%↑, 연체율 0%대… 국내의 10%

캄보디아에서 지난해부터 소액 신용대출 사업을 벌이고 있는 우리은행이 0%대 연체율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국내 여신업체 연체율이 3~4%대인 점을 감안하면 놀라운 수치입니다. 그 비결이 뜬끔없습니다. ‘오토바이’랍니다.

우리은행은 지난해 7월 캄보디아 현지 마이크로 크레디트(소액 무담보 신용대출) 회사인 ‘말리스’를 인수해 우리파이낸스캄보디아를 설립했습니다. 말리스는 도시 외곽에 5개의 점포를 가지고 있는 작은 금융회사입니다. 우리은행은 인수 직후 영업직원 70명 모두에게 오토바이를 제공했습니다. 국민의 13% 정도만 은행을 이용할 정도로 캄보디아의 금융산업은 낙후돼 있습니다. ‘기다려도 손님이 오지 않는다’는 얘기입니다.

직원들은 오토바이를 타고 동네 곳곳을 누비고 다닙니다. 어느 집이 급전이 필요하고, 갚을 능력은 얼마나 되는지 손금 보듯 훤할 수밖에 없습니다. 정교한 신용평가 시스템이 없어도 고객의 평판과 밥 숟가락 숫자까지 줄줄 꿰는 ‘관계형 금융’을 실천하고 있는 셈이죠.

종교 덕도 크다고 합니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캄보디아가 불교 국가라 남의 돈을 떼먹는 것을 죄악시하는 경향이 있다”고 전했습니다. 연체가 발생하면 ‘마을 명예와 이미지를 실추시켰다’며 촌장(村長)이 불호령을 내리기도 한답니다. 마을 어른 무서워서라도 연체를 못 한다는 거지요. 덕분에 우리은행은 지난해 말리스의 자산을 70% 넘게 늘리면서도 연체율은 0.34%를 유지할 수 있었습니다. 우리은행은 캄보디아 성공에 고무돼 같은 불교 국가인 미얀마에서도 비슷한 소액 신용대출 사업을 준비 중입니다.

규모가 다르다고는 하지만 돈을 떼이지 않는 근본 비결은 일맥상통하는 것 같습니다. 바로 고객을 ‘아는 것’입니다. 모뉴엘과 KT ENS에 속아 ‘부실 대출’로 줄줄이 징계받는 국내 금융사를 보며 불현듯 든 생각입니다.

이유미 기자 yium@seoul.co.kr
2015-02-14 1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