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맙다 유커”… 호황 누리는 화장품

“고맙다 유커”… 호황 누리는 화장품

입력 2015-02-04 18:18
업데이트 2015-02-04 18:2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업계 지난해 사상 최대 실적

‘유커’(중국인 관광객)를 필두로 한 외국인 관광객 덕분에 지난해 화장품 업계가 사상 최대의 실적을 올렸다.

4일 화장품 업계에 따르면 아모레퍼시픽은 지난해 매출액이 전년 대비 25% 늘어난 3조 8740억원, 영업이익은 52.4% 늘어난 5638억원을 기록하며 사상 최대의 실적을 냈다.

경기 불황으로 내수가 부진한데도 이처럼 높은 실적을 거둔 데는 외국인 관광객이 늘어나면서 면세점 화장품 매출이 2013년 3478억원에서 지난해 7030억원으로 크게 늘어났기 때문이다. 아모레퍼시픽 측은 “면세점에서 중국인 관광객 고객은 203%나 급증했다”면서 “설화수, 헤라와 더불어 신규 브랜드 아이오페의 면세점 진출로 브랜드 구성을 강화해 매출이 고성장했다”고 말했다.

아모레퍼시픽의 해외 화장품 사업 매출도 전년 대비 52.8% 늘어난 8325억원을 달성했다. 주력 시장인 중국에서의 매출은 44% 늘었고 이니스프리가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대만 등지로 진출하면서 아시아지역과 미국에서도 매출이 늘었다.

아모레퍼시픽은 실적이 좋아지자 올해 매출액 목표를 지난해보다 13% 늘어난 4조 3776억원, 영업이익은 15% 늘어난 6683억원으로 설정했다. 박신애 대신증권 연구원은 “혁신 제품 발굴과 중국에서의 높은 성장, 해외 법인의 수익성 개선 등에 힘입어 매출과 영업이익이 앞으로 3년간 각각 연평균 21%, 20%씩 높은 성장을 기록할 전망”이라고 말했다.

앞서 실적을 발표한 LG생활건강도 지난해 사상 최대의 실적을 이뤘다. LG생활건강의 지난해 매출액은 전년보다 8.1% 늘어난 4조 6770억원, 영업이익은 2.9% 증가한 5110억원을 기록했다. 특히 영업이익은 처음으로 5000억원을 넘어섰다. 화장품 부문의 매출이 17.7%, 영업이익이 16.8% 각각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LG생활건강도 아모레퍼시픽처럼 화장품 사업 중에서도 면세점 매출이 2013년 987억원에서 지난해 3000억원으로 3배 이상 늘어난 것이 사상 최대 실적을 견인했다. 또 화장품 사업의 해외 매출은 3991억원으로 15.9% 늘면서 전체 화장품 부문의 20%를 차지했다.

LG생활건강 측은 “중국, 대만, 홍콩 등 중화권 소비자들로부터 인기를 끄는 한방화장품 ‘후’가 지난해 4분기 면세점 판매 1위를 기록하는 등 고가 브랜드 매출이 전년보다 100% 성장한 게 실적 성장을 이끌었다”고 설명했다. LG생활건강은 올해 매출액 5조 500억원, 영업이익 5600억원 달성을 목표로 성장세를 이어갈 방침이다.

김진아 기자 jin@seoul.co.kr
2015-02-05 17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