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어발 대기업 숨바꼭질은 왜?

문어발 대기업 숨바꼭질은 왜?

입력 2011-07-25 00:00
업데이트 2011-07-25 00: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공정위, 자산 5조원이상 기업집단 분석

중소기업 적합 업종 선정과 계열사에 대한 일감 몰아주기 과세 논란이 거센 가운데 대기업집단이 영위하는 업종이 꾸준히 늘고 있다. 반면 집단별 기업공개 비율은 줄어들었다. 대기업집단이 비상장사 중심으로 업종을 늘리고 있다는 뜻이다.

이미지 확대
24일 공정거래위원회 대규모기업집단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총자산 5조원 이상으로 상호출자제한을 받는 45개 기업집단(공기업 제외)이 영위하는 업종은 771개로 전년보다 52개가 늘었다. 45개 기업집단이 갖고 있는 전체 1222개 회사 중 상장된 회사는 209개로 공개 비율이 전년보다 0.9% 포인트 줄어든 17.1%다.

공정위가 집계하는 영위 업종은 표준산업분류상의 중분류다. 예를 들어 ‘전자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등 이 한 업종으로 분류되기 때문에 삼성그룹의 경우 삼성전자, 삼성전기, 삼성LED, 삼성SDI,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 등이 한 업종이 된다. 이 같은 광범위한 분류에도 불구하고 대기업집단이 영위하는 업종이 늘어나고 있다는 것은 이들이 취급하는 품목 수는 훨씬 더 많이 늘어난다는 의미다. 영위 업종은 늘어나는데 공개 비율이 줄어든 것은 2010년만이 아니다. 2009년 당시 영위업종은 40개 기업집단이 719개로 전년 557개보다 162개나 늘어났다. 반면 공개비율은 2008년 18.9%에서 18.03%로 줄어들었다.

기업집단의 공개비율은 관련 통계가 시작된 2001년 22.1%를 기록한 뒤 꾸준히 떨어지고 있다. 2006년 19.0%까지 떨어진 뒤 2007년 19.8%로 잠시 반등하는 듯 했으나 2008년 18.9%, 2009년 18.0% 등으로 계속 떨어져 왔다.

주요 기업별로 보면 삼성은 2008년 32개 업종에서 2010년 37개 업종으로 5개 업종이 늘었고 GS는 25개 업종에서 39개 업종으로 14개가 늘었다. 반면 기업공개 비율은 같은 기간 동안 삼성이 28.8%에서 26.8%로, GS는 10.5%에서 10.1%로 떨어졌다. 구조조정(워크아웃) 상태인 금호아시아나를 빼고는 대부분의 기업이 영위 업종이 늘었고 반대로 기업공개 비율은 떨어졌다.

좋은기업지배구조연구소 김선웅 소장은 “영위 업종수가 늘어난다는 것은 계열사를 확대한다는 의미”라며 “상장 요건 등의 문제로 회사 설립 초기 상장이 쉽지도 않지만 기업 입장에서 상장이 가능해도 상장의 필요성을 느끼지 않는 경우도 많다.”고 지적했다.

비상장사의 경우 시장의 감시 등에서 자유롭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공정위는 오는 9월 대기업집단 현황 공개 시 비상장사와의 내부거래 등 계열사별 내부 거래 현황을 다각도로 분석·공개할 방침이다. 신규진입 업종, 신규거래 회사 등이 주요 분석 대상이다.

전경하기자 lark3@seoul.co.kr
2011-07-25 16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