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코리아오픈이 열리는 서울 올림픽공원 센터코트 내 선수단 라운지에 천장 누수로 긴급 조치를 취하고 있다. 대회조직위원회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16일 코리아오픈이 열리는 서울 올림픽공원 센터코트 내 선수단 라운지에 천장 누수로 긴급 조치를 취하고 있다. 대회조직위원회 제공
여자프로테니스(WTA) 투어 코리아오픈(총상금 112만 9610달러·약 15억 6000만원) 개막을 앞두고 제기됐던 부실 운영 우려가 안타깝게도 현실화했다.
지난 13일 서울 송파구 올림픽공원 테니스경기장에서 막을 올린 코리아오픈은 16일 오후 수도권 전역에 많은 비가 내리면서 경기 일정이 지연됐다. 기상 상황에 따른 경기 지연은 다른 대회에서도 흔한 상황이지만, 문제는 초청 선수들이 대기하며 식사하고, 휴식을 취하는 공간인 ‘플레이어 라운지’에서 터졌다.
이날 낮 서울의 강수량은 16.1㎜로 집계됐지만, 테니스장에는 물난리가 벌어졌다. 라운지에서는 일부 선수들이 식사를 하며 쉬고 있었지만 천장에 물이 새면서 선수들이 자리를 옮기고, 긴급 투입된 현장 인력이 임시로 쓰레기통과 양동이 등을 동원해 물을 받으며 보수 작업을 진행했다.
이번 대회의 디렉터를 맡고 있는 이진수 JSM 대표는 “선수 출입구 쪽은 물이 차올라 홍수가 날 판이다”며 “선수 보기 창피해서 얼굴을 못들 지경이다”고 씁쓸해했다.
코리아오픈은 남녀를 통틀어 국내 유일의 프로테니스투어다. 지난해부터 WTA 250시리즈에서 WTA 500 등급으로 승격됐다. 한 해 4차례 열리는 메이저대회와 마스터스급 대회(1000시리즈) 다음 레벨의 큰 대회다. 올해 대회는 세계랭킹 2위 이가 시비옹테크를 비롯해 2021 US오픈 우승자 에마 라두카누 등 세계 상위 랭커들이 대거 서울을 찾았다.
이미지 확대
플레이어 라운지 천장에서 떨어지는 빗물을 양동이로 받아내는 모습. 대회조직위원회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플레이어 라운지 천장에서 떨어지는 빗물을 양동이로 받아내는 모습. 대회조직위원회 제공
하지만 대회장으로 쓰이는 시설은 1988년 서울올림픽 이후 크게 낙후한 상황이다. 매년 코리아오픈을 앞두고 전면 개보수와 리모델링의 필요성이 언급되지만, 시설 관리 주체인 국민체육진흥공단과 산하 기관 한국체육산업개발은 뒷짐만 지고 있다.
대한테니스협회 관계자는 “내일 한국체육산업개발 측과 회의가 있는데 이 문제에 대해 강력히 항의하겠다”고 말했다.
박성국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가수 유승준이 한국 입국비자 발급을 거부한 처분을 취소해 달라며 낸 세 번째 소송에서도 승소했다. 다만 이전처럼 주로스앤젤레스(LA) 총영사관이 법원 판단을 따르지 않고 비자 발급을 거부할 경우 한국 입국은 여전히 어려울 수 있다. 유승준의 한국입국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