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호주 관객이 지난 31일(한국시간) 경기장이 아닌 바에서 맥주를 마시고 있다. 파리 AP 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한 호주 관객이 지난 31일(한국시간) 경기장이 아닌 바에서 맥주를 마시고 있다. 파리 AP 연합뉴스
2024 파리올림픽 경기장에서는 알코올이 들어간 음료를 살 수 없다. 알코올이 들어간 음료는 VIP 입장권을 구매한 관객에게만 허용된다.
미국 NBC 방송 등은 지난 31일(한국시간) 시원한 맥주 한 잔을 들이켜며 스포츠를 관람하는 문화에서 살아온 미국 관객들이 파리에서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고 전했다. 경기장에서는 청량음료와 알코올이 빠진 맥주를 판다. 일반 입장권을 산 관객들은 알코올이 들어간 음료는 경기 관전 후 경기장 밖 바에서 마실 수 있다.
이는 1991년 제정된 프랑스의 에빈 법 때문이다. 이 법은 대규모 행사에서 알코올음료와 담배 판매를 제한하기 위한 목적에서 만들어졌다. 각 스포츠 단체는 이 법에 따라 1년에 최대 10차례 대회에서만 알코올음료를 팔 수 있다.
법 개정이 필요한 만큼, 파리 올림픽 조직위원회 역시 개회식을 빼고 16일간 700경기 이상이 열리는 이번 올림픽을 에빈 법 적용 대상에서 포함했다.
다만 ‘매우 중요한 사람’이라는 뜻의 VIP에겐 경기장 라운지에서 맥주, 와인 등 알코올음료를 제공한다. 이 역시 프랑스의 법에 기반한 것인데, VIP 라운지와 같은 접대 구역에선 연회나 행사 등에서 볼 수 있는 음식 제공인 케이터링에 기반한 법을 따로 적용한다. 따라서 VIP 라운지 등을 이용할 경우 올림픽 경기를 관람하면서도 알코올음료를 마실 수 있다.
김예슬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