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일 ‘평창 선언문’ 채택
한·중·일의 스포츠 장관 회담이 2년마다 정례적으로 열리고, 2022년 베이징동계올림픽이 끝난 이후에도 지속된다. 또 2018년부터 4년간 각각 평창과 도쿄, 베이징에서 동·하계올림픽을 치르는 3국은 올림픽에 소요되는 일부 자재를 서로 공유하는 방안을 모색하기로 했다.●2년마다 만나 올림픽·스포츠 산업 협력
조윤선 문화체육관광부 장관과 류펑 중국 국가체육총국장, 마쓰노 히로가쓰 일본 문부과학성 대신은 23일 강원 평창알펜시아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제1회 한·중·일 스포츠 장관 회의 이틀째 일정을 마친 뒤 회담 결과를 명시한 ‘평창 선언문’에 서명했다. 이에 따르면 동북아 3국은 올림픽의 성공적 개최를 위해 노하우를 공유하고 ‘올림픽 붐’ 조성에 함께 힘쓰기로 했다. 또한 도핑 방지와 스포츠산업 발전에도 협력하기로 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한·중·일 스포츠 장관 회의를 정례화해 격년마다 개최하기로 했다. 제2회 한·중·일 스포츠 장관 회의는 일본에서 열린다. 문체부 김영수 체육협력관은 “2022년 베이징동계올림픽이 끝난 이후에도 3개국 스포츠 장관 회의가 이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재활용 가능 시설·물품도 공유하자”
‘평창 선언문’에 명시되진 않았지만 경제와 환경을 생각하는 대회를 만들기 위해 3개국이 개최하는 올림픽에서 재활용이 가능한 물품들을 서로 공유하는 방안도 검토되고 있다. 조 장관은 “올림픽에 소요되는 일부 설비와 자재들을 (3개국이) 같이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실무적으로 협의하자고 이야기했다”며 “런던올림픽과 베이징올림픽이 좋은 선례를 남긴 것 같다”고 말했다. 2012년 런던올림픽에서는 2008년 베이징올림픽에서 이용한 의자나 장식품 등을 일부 재활용해 사용했다. 동북아 3개국도 실무진 간 협의를 통해 이를 벤치마킹할 방침이다.
또 중국이나 일본의 동계스포츠 선수들이 한국에 와서 훈련을 하거나, 각국 관계자들이 경기시설 건설 노하우를 서로 공유하는 방안도 제안됐다. 이날 최문순 강원도지사는 “한국에서 열리는 올림픽 테스트이벤트(사전점검대회)에 중국 관계자들이 참관해 기술을 전수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평창 한재희 기자 jh@seoul.co.kr
2016-09-24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