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막이 두 달도 채 남지 않은 리우데자네이루올림픽을 둘러싸고 치안 불안에 대한 우려가 계속되는 가운데 장애인올림픽(패럴림픽)에 여섯 차례나 출전한 호주의 베테랑 라이슬 테시(47)가 리우 시내 한복판에서 노상 권총강도를 당했다.
장애인올림픽(패럴림픽)에 여섯 차례나 출전한 호주의 라이슬 테시(왼쪽)가 지난 2014년 4월 윌리엄 영국 왕세손을 시드니 오페라 하우스 앞에서 만나 함께 포즈를 취하고 있다. 데일리 텔레그래프 자료사진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장애인올림픽(패럴림픽)에 여섯 차례나 출전한 호주의 라이슬 테시(왼쪽)가 지난 2014년 4월 윌리엄 영국 왕세손을 시드니 오페라 하우스 앞에서 만나 함께 포즈를 취하고 있다. 데일리 텔레그래프 자료사진
패럴림픽 휠체어농구와 요트에 출전했던 테시는 호주 대표팀의 심리 치료사 새러 로스와 함께 지난 19일(이하 현지시간) 훈련 중이던 플라멩고 비치 근처에서 두 명의 권총 강도와 맞닥뜨렸다고 영국 BBC가 21일 전했다. 강도는 두 사람을 멈춰 세워 자전거에서 내리게 한 뒤 자전거를 빼앗아 달아났다. 둘은 강도가 처음에는 돈을 요구하며 권총을 겨눴으나 스페인어를 조금은 알아듣는 테시가 셔츠를 올리며 땡전 한 푼 없다고 하자 맨손으로 어깨를 밀어붙여 그녀를 자갈밭에 쓰러뜨린 뒤 자전거를 훔쳐 타고 달아났다.
테시는 범행 현장 근처에 여러 명이 있었으나 누구도 도움의 손길을 뻗치지 않았다고 했다. 브라질 당국은 올림픽이나 패럴림픽에 참가하는 선수들이나 관광객들은 8만 5000여명의 군인과 경찰관이 배치되는 이 대회에서 안전을 스스로 지켜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범죄률이 급등했다는 보도가 잇따르고 있다. 스페인 요트 대표 선수 3명은 지난달 리우 시내를 산책하다 권총강도의 표적이 됐다. 주제 벨트랑 리우주 안전부 장관은 미국 일간 워싱턴 포스트에 경기 침체와 경찰의 자금 부족 때문에 이런 일이 빚어지고 있다고 개탄한 뒤 이제 자금난은 해소됐으며 리우는 올림픽을 안전하게 치를 준비를 마쳤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소두증을 유발하는 지카 바이러스에 대한 우려가 여전해 리우올림픽의 성공적인 준비 태세를 의심스럽게 만들고 있다. 하지만 당국은 적절한 예방 조치를 취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임병선 선임기자 bsni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