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축구평의회, 3월에 비디오 판독 도입 여부 투표

국제축구평의회, 3월에 비디오 판독 도입 여부 투표

입력 2016-02-03 14:07
수정 2016-02-03 14:0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축구 경기규칙 정하는 국제축구평의회(IFAB)가 다음달 비디오 판독 도입 여부를 놓고 투표한다.

국제축구연맹(FIFA)는 2일(이하 현지시간) 홈페이지를 통해 “3월 5일 웨일스 카디프에서 열리는 IFAB 연례총회에서 비디오 판독 도입에 대해 논의하고 투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IFAB는 지난해 3월 비디오 판독 도입을 놓고 격론을 펼쳤지만 실제 대회를 대상으로 적용하기에는 정보가 더 필요하다며 보류한 바 있다.

그러나 지난달 회의에서는 2016-2017시즌부터 득점, 페널티킥, 퇴장 판단시 비디오 판독을 시범적으로 이용하는 방안을 논의했고 도입에 찬성하는 분위기가 조성된 것으로 알려졌다.

다음달 연례총회에서는 또 연장전 추가 교체카드를 허용하는 방안, 선수가 전자장비를 부착하고 출전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방안을 논의한다.

이밖에 퇴장과 페널티킥, 출전정지를 동시에 내리는 ‘삼중 제재’ 삭제 방안도 안건으로 올라왔다.

IFAB는 ‘축구 종가’인 잉글랜드, 웨일스, 스코틀랜드, 아일랜드 축구협회와 FIFA로 구성된다.

김지향 서울시의원 “서울지하철 51개 역사, 폭염 무방비 상태...예산부족으로 냉방 보조기기 공급도 없어”

117년 만의 기록적 폭염 속에서도 서울지하철 일부 역사에 냉방시설이 없어, 시민들이 재난 수준의 더위에 그대로 노출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김지향 서울시의회 시민권익위원장(국민의힘, 영등포 제4선거구)은 최근 서울교통공사로부터 제출받은 ‘지하철 냉방 현황’을 분석한 결과, 서울지하철 276개 역사 중 51개 역사, 전체의 18.5%가 냉방시설 없이 운영되고 있으며, 이 중 26개는 지하역사로 냉방 보조기기마저 공급되지 않아 폭염에 사실상 방치된 상태라고 밝혔다. 또한 서울지하철의 냉방 민원은 2022년도 18만 1048건에서 2024년 29만 9709건으로 약 66%가 증가했으며, 올해 6월 1일부터 7월 8일 현재 14만 4649건의 민원이 발생해 전년 동기 14만 656건보다 약 3% 상승했다. 서울교통공사는 2025년 8~9월, 지상역사 15곳에 냉방보조기기 60대를 한시적으로 운영할 계획이지만, 7월에는 예산 부족으로 냉방 보조기기조차 가동하지 못하고 있어, 폭염에 더 취약한 지하역사에는 별도의 대책이 전무한 실정이다. 현재 서울시는 재해·재난 목적 예비비 200억원과 일반 예비비 1039억원(2025년 제1회 추경 기준)을 보유하
thumbnail - 김지향 서울시의원 “서울지하철 51개 역사, 폭염 무방비 상태...예산부족으로 냉방 보조기기 공급도 없어”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