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야구 700만 관중시대…KIA팬 김점섭씨, 야구팬으로 산다는 것…
프로 스포츠의 존재 이유는 단연 팬이다. 경기장을 가득 메운 팬들의 응원이 있어야 선수도 신이 나 멋진 플레이를 펼칠 의욕이 생긴다. 프로야구가 25일 한 시즌 최다 관중 기록을 새로 쓰며 700만 관중 돌파를 눈앞에 두고 있다. 한국야구위원회(KBO)에 따르면 이날 잠실·문학·대구 구장에는 2만 7504명이 입장해 누적 관중 681만 2530명을 기록, 지난해 작성한 역대 최다 관중(681만 28명)을 뛰어넘었다. 한가위 연휴 중에 연관중 700만명 시대를 열 전망이다. 시즌을 앞두고 경기 조작 등 악재가 쏟아졌지만 팬들의 뜨거운 응원 열기를 꺾지는 못했다. 서울신문은 700만 관중 시대를 맞아 구단이나 선수, 코칭스태프보다 더 축하받아야 할 팬 한 명을 초대했다.
김점섭씨 제공
열혈 KIA팬 김점섭씨가 미니 전광판에 새긴 바람대로 KIA가 가을 야구를 하기는 힘들다. 연간 80경기를 직접 지켜본다는 그는 희망이 오래전에 사라졌는데도 지난 21일 넥센과의 경기가 열린 서울 목동구장에 모습을 드러냈다. 사진은 KIA가 4강 진입을 벼르던 지난달 중순 광주구장에서의 모습.
김점섭씨 제공
김점섭씨 제공
KIA 경기를 지켜본 팬이라면 관중석 한쪽에서 미니 전광판을 들고 응원하는 그가 낯설지 않을 것이다. 홈경기뿐 아니라 원정 경기에서도 그의 모습을 쉽게 찾을 수 있다. 표정에서는 신앙 같은 느낌마저 묻어난다. 중계 카메라에도 자주 모습을 비춘다. 광주에 사는 김점섭(34)씨와 전화로 인터뷰했다.
KIA자동차 광주공장에 근무하는 김씨는 빛고을 사람들이 으레 그렇듯 어린 시절부터 해태(KIA 전신) 팬이었다. 하지만 1990년대 후반 해태가 모기업의 경영난으로 몰락한 데 이어 KIA도 좋은 성적을 내지 못하면서 한동안 야구장을 찾지 않았다. 그러던 김씨가 다시 야구의 묘미에 흠뻑 빠진 것은 2009년 KIA가 우승을 차지하고서부터다.

‘좀 더 멋지게 응원하고 선수들을 격려하는 방법은 없을까’ 고심하던 김씨는 이듬해 온라인 쇼핑몰에서 미니 전광판을 구입했다. 대당 26만원으로 만만치 않은 가격이었지만 2대를 주문했다. 한 대에 쓸 수 있는 글자 수가 8자에 불과해 제대로 된 응원 문구를 쓰기 어려웠기 때문이다.
한 시즌 80경기 이상 관전하는 김씨가 1년 동안 야구에 지출하는 돈은 어림잡아 1000만원. 입장권은 1만원이 안 되지만, 원정 경기를 보기 위해 드는 차비와 숙박비 등이 만만치 않다. 경기장에서 시원한 맥주를 마시고, 의기투합한 다른 팬들과 소주잔을 나누는 데도 꽤 많은 돈이 든다.
“홈경기는 거의 모두 관전하고, 원정 경기도 근무에 지장을 주지 않으면 대부분 보러 갑니다. 아직 미혼인데, 함께 사시는 부모님이 야구에 중독됐다고 걱정하시죠. 하지만 야구장에 있을 때가 가장 행복한 걸 어떻게 하겠어요.”
김씨를 알아보는 팬들도 꽤 있다. “식당에서 밥을 먹으면 KIA 팬 아니냐고 종종 말을 걸어요. 경기장에서도 여러 사람이 다가와 인사를 건네죠. 야구장에서 사귀게 된 사람만 수십 명이 넘습니다.”
선동열 감독이 부임하면서 KIA의 올 시즌에 대한 기대감이 커졌지만, 포스트시즌 진출은 사실상 물 건너간 상태다. 김씨는 “투수력은 좋았지만, 타선이 너무 약했다. 선발이 잘 던져도 불펜이 무너지거나 점수가 나지 않는 등 ‘박자’가 맞지 않았다.”고 부진의 이유를 진단했다. 이어 “1루 수비 불안이 가장 큰 문제인 것 같다.”며 “내년 시즌에는 이범호-최희섭-김상현으로 이어지는 클린업트리오를 꼭 보고 싶다.”는 바람을 나타냈다.
김씨는 2014년 완공되는 KIA의 새 홈구장에 큰 기대감을 표했다. 먹고 마시는 재미로 야구장을 찾는 사람이 많은 만큼 문학구장 같은 바비큐존이 꼭 설치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하루속히 10구단 체제가 정립돼야 야구 열기를 이어 갈 수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골수 중에서도 골수인 김씨지만 KIA 구단으로부터 받는 특별한 대우는 없다고 했다. “제가 좋아 야구장을 찾는 건데 혜택은 바라지도 않습니다. 오히려 부담스럽죠. 올 시즌 KIA 성적에 대한 실망요? 선수들도 열심히 했잖아요. 내년에도 열성적으로 응원할 테니 좋은 성적을 내 주길 바랄 뿐입니다.”
임주형기자 hermes@seoul.co.kr
2012-09-26 2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