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소게임이었다. 선수들은 숨을 헉헉거렸다. 자유투 쏘는 시간을 쪼개 숨을 고르기 바빴다. 그만큼 격렬했다. 12일 인천에서 열린 KT와 전자랜드의 프로농구 6강플레이오프(PO·5전3선승제) 3차전 모습이다. 전창진 KT 감독은 작전타임을 아꼈다. “경기가 익사이팅했지만 일부러 타임을 안 불렀다. 상대 체력을 빼느라 그랬다.”고 했다.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앞선 두 경기가 워낙 접전이었다. 1차전은 연장전을 치렀고, 2차전은 종료 직전 스틸로 승부가 갈렸다. 이틀 간격으로 빅매치를 치르다 보니 체력 소모도 많았고 정신적 후유증도 상당했다. 전 감독의 작전은 유효했다. KT는 막판까지 에너지가 넘쳤고 전자랜드는 지친 기색이 역력했다. KT가 2승(1패)째를 챙기고 4강PO에 한 걸음 다가섰다.
사실 전자랜드는 ‘노인정’이라고 불린다. 그만큼 노장이 많다. ‘에이스’ 문태종과 신기성(이상 37)을 비롯, 강혁(36)·이한권(34)·이현호(32)까지 주축 선수들의 연령이 높다. KT의 표명일(37)과 조동현(36)도 노장인 건 마찬가지지만 대체할 젊은 피가 있는 데다 주득점원이 아니란 점에서 시름이 덜하다.
물론 나이가 많은 건 경험이 풍부하다는 이점도 있다. PO 무대에서도 떨지 않고 제 기량을 발휘할 수 있다. 승부처마다 한 방을 대담하게 시도하기도 한다. 실제로 접전이었던 1·2차전은 이들 베테랑이 진두지휘했다. 하지만 3차전에선 역시나 체력이 발목을 잡았다. 공수 전반에 걸쳐 흔들렸다. 자유투 22개 중 7개를 놓쳤고 2점슛도 43개를 시도해 23개밖에 넣지 못했다.
문태종은 장기인 3점포를 시도조차 하지 못했다. 14점 4리바운드 4어시스트로 초라하게(?) 경기를 마쳤다. 1차전 때 넘어진 탓에 생긴 팔꿈치·등·엉덩이 통증이 아직도 심하다고. 힐이 더블더블(23점 10리바운드)을 기록했지만 알맹이가 빠진 점수였다. 승부욕이 강한 강혁도 종아리에 무리가 왔고, 이현호는 1차전에서 발목이 돌아갔다.
유도훈 전자랜드 감독은 “발로 적극적으로 따라다니는 농구를 하겠다.”고 했지만 지금 상태라면 요원해 보인다. 14일 오후 7시 인천 삼산월드체육관에서의 4차전 관전 포인트는 체력이다.
조은지기자 zone4@seoul.co.kr
2012-03-14 2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