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오존파괴 ‘프레온가스’ 배출 줄었지만… 절반 이상 中동부서 나온다

오존파괴 ‘프레온가스’ 배출 줄었지만… 절반 이상 中동부서 나온다

유용하 기자
유용하 기자
입력 2021-02-10 16:24
업데이트 2021-02-11 09: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경북대 박선영팀 ‘네이처’지 발표

프레온가스는 오존층 파괴 ‘주범’
증가량의 40~60% 中동부서 배출
2017년 이후 매해 1만MT씩 감소
이미지 확대
1987년 몬트리올의정서 채택으로 프레온가스를 비롯한 오존층을 파괴하는 화학물질의 생산과 사용이 금지됐다. 프레온가스는 여전히 일부 건축물이나 가전제품 단열재로 쓰이고 있다. 프레온가스는 대기 중 장기체류 물질로 배출 이후 45~100년 동안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국 캘리포니아 버클리대 제공
1987년 몬트리올의정서 채택으로 프레온가스를 비롯한 오존층을 파괴하는 화학물질의 생산과 사용이 금지됐다. 프레온가스는 여전히 일부 건축물이나 가전제품 단열재로 쓰이고 있다. 프레온가스는 대기 중 장기체류 물질로 배출 이후 45~100년 동안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국 캘리포니아 버클리대 제공
1987년 9월 프레온가스(CFC11)를 비롯해 지구 오존층을 파괴하는 100여종의 화학물질 생산과 사용금지를 위한 몬트리올의정서가 유엔 회원국 197개국 전원 합의로 채택됐다. 덕분에 1990년대 중반부터 대기 중 프레온가스 농도가 감소하기 시작했다.

●널뛰는 프레온가스 배출량

그러나 2012년을 기점으로 감소 속도가 둔화되기 시작하다가 2018년에는 프레온가스 배출이 다시 증가하고 있다는 충격적인 보고가 있었다. 프레온가스의 대기 중 잔류 기간이 길고, 몬트리올의정서 발효 이후에도 건축물이나 냉장시설 단열재에 쓰이는 경우가 있었지만 대기 중 농도 증가에 영향을 미칠 수준은 아니었다. 이 때문에 유엔환경국(UNEP)을 비롯한 환경기구들에서는 프레온가스의 정확한 배출 지역을 찾는 데 골머리를 앓고 있었다.
박선영 경북대 지구시스템과학부(해양학) 교수
박선영 경북대 지구시스템과학부(해양학) 교수
그런데 2019년에 경북대 지구시스템과학부(해양학) 박선영 교수팀은 중국 산둥성, 허베이성 등 중국 동부 지역에서 2013년부터 2017년까지 프레온가스 증가량의 40~60%를 배출하고 있다는 사실을 밝혀내고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한 바 있다.

박 교수팀은 영국 브리스톨대, 일본 국립환경연구소, 영국 기상청, 스위스 연방재료과학연구소, 중국 저장대,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해양대기관리청(NOAA), 캘리포니아 샌디에고대(UCSD) 스크립스해양연구소, 항공우주국(NASA) 고다드우주비행센터, 호주 CSIRO 해양대기연구소 연구진과 함께 다시 중국 동부에서 프레온가스 추적 조사를 한 결과 다행히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 분석 결과를 ‘네이처’ 2월 11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한국 제주도 고산과 일본 하테루마섬에서 관측 자료와 화학수송모델(CTM) 시뮬레이션을 통해 프레온가스 농도 변화 추이를 종합 분석했다. 그 결과 중국 동부 지역의 프레온가스 배출은 2017년 이후 매년 1만메트릭톤(MT)씩 감소해 2019년에는 2013년 이전 수준으로 회복된 것으로 확인됐다. 메트릭톤은 1000㎏을 1t으로 하는 단위로 1016㎏을 1t으로 하는 롱톤(LT)이나 907㎏을 1t으로 하는 숏톤(ST)과 구분하기 위해 쓰인다. 이번 결과는 전 세계 프레온가스 감소량의 60%에 해당하는 것으로 중국 동부 지역에서 프레온가스 생산 및 배출이 심각했던 것으로 해석됐다.
이미지 확대
‘대기 미량 화학성분 지상관측 국제 네트워크’(AGAGE)의 국내 관측소로 지정된 제주 고산관측소의 모습. 고산관측소에서는 중국 동부 지역 프레온가스 배출을 포함해 동북아 지역의 대기 미량 화학성분을 관측하고 있다. AGAGE 제공
‘대기 미량 화학성분 지상관측 국제 네트워크’(AGAGE)의 국내 관측소로 지정된 제주 고산관측소의 모습. 고산관측소에서는 중국 동부 지역 프레온가스 배출을 포함해 동북아 지역의 대기 미량 화학성분을 관측하고 있다.
AGAGE 제공
미국 NOAA, 콜로라도 볼더대, UCSD 스크립스해양연구소, MIT, 전미냉동공조협회, 비영리 환경단체인 천연자원보호위원회(NRDC), 영국 리즈대, 왕립지구관측센터, 왕립대기과학센터, 영국 기상청, 브리스톨대, 호주 CSIRO 해양대기연구소 공동연구팀도 2018~2019년 프레온가스 전 지구적 배출량이 1만 8000MT 감소하면서 2019년에는 2008~2012년 평균 연간배출량과 비슷한 5만 2000MT 배출에 그쳤다고 밝혔다. 이 연구 결과도 국제학술지 ‘네이처’ 2월 11일자에 실렸다.
중국發 프레온가스 배출량 다시 감소세로
중국發 프레온가스 배출량 다시 감소세로 중국 동부 지역 프레온가스 배출량의 시기별 변화 추이를 보여 주는 그래픽을 보면 2014~2017년에는 프레온가스가 심각한 수준으로 배출됐음을 알 수 있다. 그렇지만 2019년에 2008~2012년 수준으로 줄어든 것이 보인다. 전문가들은 프레온가스 배출량 변화 추이가 널뛰기를 하고 있어 추후 다시 배출량 증가세가 나타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AGAGE/미국 항공우주국(NASA) 지구관측소 제공
●美 등 공동연구팀도 “세계 배출량 감소”

두 논문에 모두 참여한 로널드 프린 MIT 지구대기행성과학과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들은 프레온가스 배출량이 다시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는 점과 함께 전 세계 배출량의 절반 이상이 중국 동부 지역에서 발생했다는 것을 확실히 보여 주고 있다”라고 말했다. 매튜 릭비 영국 브리스톨대 교수 역시 “이번에 관측된 것들은 2017년까지 배출되고 생산된 프레온가스의 극히 일부분일 것”이라며 “나머지는 여전히 건물 등에 갇혀 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다시 수치가 높아질 가능성은 여전하다”고 밝혔다.

유용하 기자 edmondy@seoul.co.kr
2021-02-11 22면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