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의 처단’, 웃으며 놔뒀다”는 尹…“웃을 일인가” 전공의 분노

“‘전공의 처단’, 웃으며 놔뒀다”는 尹…“웃을 일인가” 전공의 분노

김소라 기자
김소라 기자
입력 2025-01-24 11:14
수정 2025-01-24 11:1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포고령 ‘전공의 처단’ 문구
尹 “‘왜 들어갔냐’ 웃으며 물었다”

이미지 확대
윤석열 대통령이 23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본인의 탄핵심판 4차변론에서 증인으로 출석한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에게 직접 증인신문을 하자(사진 왼쪽), 김 전 장관이 답변하고 있다.  2025.1.23 헌법재판소 제공.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23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본인의 탄핵심판 4차변론에서 증인으로 출석한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에게 직접 증인신문을 하자(사진 왼쪽), 김 전 장관이 답변하고 있다. 2025.1.23 헌법재판소 제공. 연합뉴스


‘전공의 처단’을 명시해 의료인들의 강한 반발을 샀던 포고령에 대해 윤석열 대통령이 “웃으며 놔뒀다”고 주장하자, 당사자인 전공의 단체 대표가 “웃을 일인가”라며 강하게 비판했다.

23일 의료계에 따르면 박단 대한전공의협의회 회장은 전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포고령의 ‘전공의 처단’ 문구에 대해 해명하는 윤 대통령과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의 헌법재판소 증인신문 내용이 담긴 기사를 공유하며 “웃어?”라고 말했다.

박 회장은 “처단이라는 단어가 허허 웃을 거린가. 누군 죽을 수도 있겠다 싶었는데. 그게 다 장난인가”라며 “할 말이 따로 있지. 둘 다 제정신이 아니구나”라고 일갈했다.

앞서 윤 대통령은 전날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탄핵심판 4차 변론에서 김 전 장관을 상대로 증인신문을 하며 포고령에 ‘전공의 처단’ 문구가 담긴 경위에 대해 “내 의중이 아니었으며, 웃으며 놔뒀다”는 식으로 주장했다.

윤 대통령은 김 전 장관을 향해 “계엄 전 장관이 관저에 포고령을 가져왔고, ‘전공의’를 왜 집어넣었냐고 웃으며 이야기했다”면서 “웃으며 놔뒀는데 기억하느냐”고 물었다. 이에 김 전 장관도 “말씀하시니까 기억납니다”며 맞장구쳤다.

이미지 확대
박단 대한전공의협의회 회장 페이스북.
박단 대한전공의협의회 회장 페이스북.


‘12·3 비상계엄’ 선포 직후 발표된 포고령에는 “전공의를 비롯하여 파업 중이거나 의료 현장을 이탈한 모든 의료인은 48시간 내 본업에 복귀하여 충실히 근무하고, 위반 시에는 계엄법에 의해 처단한다”는 문구가 담겼다.

‘처단 대상’이 된 의료계는 잇달아 규탄 시위를 열고 반발했고, 어렵게 봉합되는 듯했던 의정갈등은 걷잡을 수 없이 악화됐다. 야권에서는 “윤 대통령이 계엄 직후 대량 살상이 벌어질 가능성을 염두에 둔 것”이라는 주장까지 나왔다.

이민석 의원, 공덕1 세입자 주거안정방안 마련 환영

서울시의회 주택공간위원회 이민석 의원(국민의힘, 마포1)은 지난 2일 주택실 업무보고에서 공덕1 단독주택재건축 세입자를 위한 주거안정 방안이 마침내 마련된 것에 대해 환영의 뜻을 밝혔다. 지난 2019년 서울시는 ‘단독주택재건축 세입자 대책’을 통해 세입자에게 당해 구역 행복주택을 공급하겠다고 발표했으나, 법적 근거 미비로 철거세입자의 행복주택 입주가 어렵다는 사실이 뒤늦게 알려지면서 주민들의 혼란이 가중됐다. 이에 이 의원은 2024년 행정사무감사에서 공덕1구역 세입자들에게 약속한 대책을 조속히 이행할 것을 서울시에 촉구해왔다. 그간 미온적이었던 서울시는 “지난 5월 ‘도시계획 조례’ 개정으로 지구단위계획 변경 시 발생하는 토지가치 상승분을 ‘공공지원시설’로 환수할 수 있게 되면서, 공덕1구역의 경우 허용용적률 상향을 통해 법상한 임대주택 물량을 기부채납 물량으로 변경하여 사업성에 영향 없이 철거세입자를 위한 주거 공간을 마련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고 설명했다. 이 의원은 “정든 터전을 떠날 수밖에 없던 주민분들이 다시 돌아올 수 있는 길이 열려 기쁘다”며 “지난 8월 27일 설명회에서 주민분들이 기뻐하시는 모습을 보며 큰 보람을 느꼈다”고 말했다.
thumbnail - 이민석 의원, 공덕1 세입자 주거안정방안 마련 환영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은 국회에서 “‘전공의 처단’ 문구가 왜 포고령에 들어갔는지 아무도 아는 사람이 없었고, 어떻게 해야 할지도 미처 생각하지 못했다”고 해명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가수 유승준의 한국비자발급 허용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가수 유승준이 한국 입국비자 발급을 거부한 처분을 취소해 달라며 낸 세 번째 소송에서도 승소했다. 다만 이전처럼 주로스앤젤레스(LA) 총영사관이 법원 판단을 따르지 않고 비자 발급을 거부할 경우 한국 입국은 여전히 어려울 수 있다. 유승준의 한국입국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1. 허용해선 안된다
2. 이젠 허용해도 된다
3. 관심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