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생제 내성균 사람 간 전파… “2050년 年 1000만명 사망”

항생제 내성균 사람 간 전파… “2050년 年 1000만명 사망”

입력 2016-08-11 22:42
수정 2016-08-12 00:4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왜 위험한가

“항생제 내성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면 2050년 연간 1000만명이 항생제 내성균으로 사망할 것이다.”

영국 정부가 지난 5월 발간한 ‘항균 내성에 대한 고찰’이란 보고서는 인류가 항생제를 계속 남용할 경우 어떤 항생제로도 치료할 수 없는 ‘슈퍼박테리아’가 대거 출현해 3초당 1명꼴로 목숨을 잃을 것이라고 경고한다. 매년 전 세계에서 암으로 사망하는 사람(820만명)보다 많다.

1928년 영국 미생물학자 알렉산더 플레밍이 ‘기적의 약’으로 불리는 최초의 항생제 페니실린을 발견하기 전까지 인류는 각종 세균의 공습에 속수무책으로 당했다. 14세기 유럽 인구의 3분의1이 페스트로 사망하는 등 세균이 한 국가의 운명과 인류 역사를 송두리째 바꾸기도 했다. 항생제가 더는 듣지 않는다는 건 인류가 세균의 공포에 짓눌려 살았던 ‘암흑시대’로 회귀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정부가 11일 항생제 내성 관리대책을 내놓은 것은 항생제 오남용을 이대로 방치했다간 이런 심각한 보건안보 위기가 곧 닥칠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항생제 내성균이 만연하면 단순한 상처만으로도 생명이 위태로워질 수 있으며 수술 등 각종 의료행위에도 매번 감염을 걱정해야 한다.

미래학자나 세균전문가들이 “인류가 멸망한다면 이는 핵전쟁 때문이 아니라 눈에 보이지 않는 세균 때문일 것”이라고 예측한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경제학자 출신인 짐 오닐 영국 재무성 차관은 ‘항균 내성에 대한 고찰’ 보고서에서 “항생제 내성 대응 실패는 세계 경제를 2~3.5% 후퇴시킬 것”이라고 경고하기도 했다.

내성은 세균이 항생제에 대응해 살아남고자 장착한 일종의 ‘무기’다. 항생제의 공격에서 운 좋게 살아남은 세균은 이미 약의 뜨거운 맛을 본 터라 아주 낮은 확률이지만 돌연변이를 일으켜 항생제의 특정성분에 대응할 내성을 만들어낸다. 항생제를 지속적으로 사용하면 이런 내성을 가진 세균만 살아남아 내성균이 만연하게 된다. 내성균을 죽이려면 다른 성분의 항생제를 써야 하고, 내성균이 이 항생제에 대해서도 내성을 가지면 또 다른 항생제를 찾아야 하는 악순환에 빠지게 된다. 이렇게 여러 항생제에 내성을 가진 세균을 ‘다제(多劑)내성균’이라고 하는데 지금도 우리 주변에 빠르게 퍼지고 있다.

가령 결핵 환자가 의사의 지시를 따르지 않고 약을 복용하다 마음대로 중단하면 살아남은 결핵균이 내성균으로 진화해 다제내성균이 된다. 국내에서 다제내성 결핵균에 감염된 환자는 매년 800~900명이 발생하고 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가장 많다. 보통 결핵 치료에는 6개월이 걸리지만, 다제내성 결핵 치료기간은 무려 2년이다. 치료 성공률도 50~60%에 불과하다.

항생제 내성균은 사람 간 접촉을 통해 퍼지기 때문에 함부로 쓰면 자신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에게도 피해를 줄 수 있다. 항생제를 쓰기 전까진 자신이 감염된 균이 내성균이란 사실도 알 수 없다. 이는 항생제를 아무리 투여해도 죽지 않는 슈퍼박테리아 때문에 누구나 손쓸 방도 없이 무력하게 죽음을 맞을 수 있다는 의미다.

세종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6-08-12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