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사병 치사율 25% ‘치명적’… 찬물에 몸 담가 체온 내려야

열사병 치사율 25% ‘치명적’… 찬물에 몸 담가 체온 내려야

입력 2016-08-09 22:54
수정 2016-08-10 00:0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온열질환 대처법 Q&A

집·건물 등 실내에서도 걸려
소금 탄 수분 섭취·휴식 필요


폭염이 지속되면서 지난 8일까지 온열질환자가 1237명으로 5년간 연평균 온열질환자(1128명)를 훌쩍 넘어서자 온열질환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온열질환 대처법을 일문일답으로 정리했다.

→온열질환이란.

-대부분 체온조절시스템의 오작동으로 발생하는 질병이다. 피부 발진(열부종), 열경련, 열탈진, 열실신, 열사병 등 5가지다. 고온 다습한 곳에 오래 있으면 다리 등에서 쥐가 나는 열경련이 발생한다. 방치할 경우 현기증·두통이 동반되는 열탈진이 생기고 뇌의 산소 부족으로 실신에 이를 수 있다. 마지막 단계가 구토를 하거나 헛소리를 하는 열사병이다. 체온이 41도 이상이면 의심해야 한다. 사람마다 다르지만 치사율이 25%에 이르는 응급질환이다.

→열사병이라면 바로 병원에 가야 한다는 의미인가.

-반드시. 더위로 의식을 잃거나 열사병에 걸렸다면 병원 응급실을 찾아서 치료받아야 한다. 가장 먼저 해야 하는 응급처치는 차가운 물에 몸을 담가 체온을 내리는 것이다.

→다른 온열질환의 경우는 어떤지.

-열사병이 아니라면 충분히 쉬고 수분을 섭취하는 게 중요하다. 병원에 꼭 가야 할 필요는 없다. 수분을 보충할 때 맹물만 마시면 나트륨 등 전해질 흡수가 안 돼 경련이 올 수도 있기 때문에 소금을 약간 타서 마시는 것이 좋다.

→농사일 등 어쩔 수 없이 외부활동을 해야만 하는 경우 어떡해야 할까.

-역시 충분한 수분 섭취가 우선이다. 온열질환의 반응은 사람마다 다르기 때문에 명확한 기준을 제시하긴 어렵다. 다만, 가벼운 어지럼증이 느껴지면 바로 그늘로 옮겨 휴식을 취해야 한다. 또 응급상황에 대처할 수 있도록 꼭 2인 1조로 일을 해야 한다. 폭염에 홀로 운동하는 것도 삼가야 한다.

→집안에만 있어도 온열질환에 걸릴 수 있나.

-‘실내’의 의미라면, 그렇다. 올해 온열질환자 1237명 가운데 236명(19%)이 실내에서 발생했다. 집, 작업장, 건물, 비닐하우스, 찜질방 등 다양한 장소가 가능하다. 온열질환의 가장 큰 원인은 햇볕이 아니라 온도라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온열질환을 특히 조심해야 하는 경우는.

-4세 미만의 어린이, 75세 이상의 노인, 만성 질환자, 알코올 질환, 갑상선기능항진증, 심장약이나 이뇨제를 복용하는 사람은 체온조절 기능이 약하고 쉽게 탈수에 빠질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주의해야 한다.

■도움말 김경수(56) 서울성모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이성원 기자 lsw1469@seoul.co.kr
2016-08-10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