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탈북 한의사 김지은의 고려의학 이야기] <12>북한의 담당 의사 제도

[탈북 한의사 김지은의 고려의학 이야기] <12>북한의 담당 의사 제도

입력 2014-05-12 00:00
업데이트 2014-05-12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북한은 ‘예방의학’, ‘의사담당구역제’, ‘무상치료’ 등 사회주의 헌법이 규정한 보건의료의 기본 원칙에 기반해 환자치료와 관리, 병원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산간벽지의 농촌진료소부터 중앙 의료기관까지 의료체계가 비교적 잘 자리 잡혀 있는 편이다. 북한의 의료기관도 한국처럼 리·동 진료소와 인민병원(1차), 시·군 인민병원(2차), 도·특별시 대학병원 등으로 나뉘어 있다. 이 밖에 간염, 결핵, 구강질환, 정신과 질환을 비롯한 특수질환 치료 기관을 따로 두고 있다.

몸이 불편한 환자는 가장 먼저 1차 의료기관을 찾아 주치의인 담당 의사에게 진료를 받는다. 가벼운 질환이면 담당의사가 치료하지만 1차 의료기관에서 진단과 치료가 어려운 경우 환자를 상급 병원으로 이송한다. 여기까지는 한국과 비슷하지만 북한은 환자가 상급병원으로 이송될 때 담당 의사가 동행한다는 점이 다르다. 환자가 움직일 수 없는 경우에는 상급병원에 지방병원으로 왕진을 요청할 수 있다. 1차 의료기관의 담당의사와 상급병원의 의사는 이렇게 한 병원에서 환자를 진찰하고 치료한다. 자신의 상태를 가장 잘 알고 있는 담당의사가 상급병원 의사와 협진을 하니 환자 입장에서는 든든한 일이다. 그러나 1차 의료기관을 거치지 않고 처음부터 더 유명하고 실력 있는 의사에게 진료를 받겠다며 환자 스스로 상급병원을 골라 갈 수는 없다. 반드시 상급병원 이송에 동의한다는 담당 의사의 서명과 소견이 있어야 접수가 가능하다. 3차 의료기관을 찾을 때도 마찬가지다. 대형병원 환자 쏠림 현상이 발생할 수 없는 구조다.

특수 질환이 있는 환자는 별도의 특수 의료기관이 담당한다. 개방성 결핵, 활동성 간염 등 전염성 질환자는 증상의 중증도에 따라 간염병원과 간염예방원, 결핵병원과 결핵예방원에 분리 수용된다. 치료와 충치 예방을 담당하는 구강 예방원도 있다. 북한이 자랑스럽게 여기는 치료기관 중 하나다. ‘치아건강은 오복 중의 하나’라고 하여 북한은 오래전부터 주민들의 치아 관리에 특별히 신경을 써왔다. 하지만 현재는 의료 시스템의 골격만 남아있을 뿐 경제적 어려움으로 실질적인 운영은 어려운 상황이다.

2014-05-12 25면
많이 본 뉴스
내가 바라는 국무총리는?
차기 국무총리에 대한 국민 관심이 뜨겁습니다. 차기 국무총리는 어떤 인물이 돼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대통령에게 쓴 소리 할 수 있는 인물
정치적 소통 능력이 뛰어난 인물
행정적으로 가장 유능한 인물
국가 혁신을 이끌 젊은 인물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