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재억 전문기자의 건강노트] ‘우유 고행기’

[심재억 전문기자의 건강노트] ‘우유 고행기’

입력 2012-06-25 00:00
수정 2012-06-25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교실 뒤편의 숙직실 옆마당에 커다란 한뎃솥이 걸리고, 유월 땡볕 아래서 우유가 부글부글 끓습니다. 요즘처럼 잘 만들어진 팩우유가 아니라 횟가루 포대에 담긴 탈지분유를 털어넣고 끓이는 것입니다. 4교시 오전수업을 마친 아이들이 뒷마당에 길게 줄지어 서서 차례를 기다립니다. 그 우유 한 사발 받아마시기 위해섭니다. 아이들 손에는 컵이나 보시기가 들려 있습니다. 저라고 예외가 아닙니다. 아침에 집에서 챙겨온 양철컵과 소금을 챙겨 줄 가운데 섰습니다. 미국이 무상 원조해 준 그 탈지분유로 끓여낸 우유 한 컵을 얻어마시기 위해 이마에 삐질삐질 진땀을 흘리며 줄을 선 아이들, 다들 신이 나 했지만 얼굴은 하나같이 누렇게 떠있습니다. “우유 한 컵이 꽁보리밥 한 사발보다 훨씬 낫다.”는 선생님 설명에 기대 만발입니다.

드디어 우유 한 컵을 받았습니다. 교사(校舍) 그늘에 쪼그리고 앉아 소금으로 간한 우유를 홀짝거리며 식혀 마십니다. 누릿한 냄새가 익숙하지 않고, 닝닝한 맛도 기대와는 딴판입니다. “버리지 말고 다 마셔야 한다.”는 선생님의 당부 말씀이 있었던 터라 오로지 소금 맛으로 양철컵을 비웁니다. 문제는 그 다음이었습니다.

한참 지나자 이내 뱃속이 부글거리기 시작합니다. 방귀를 뿡뿡 뀌어대는 아이들도 있습니다. 그럴 줄 알았다는 듯 선생님은 “뱃속에서 구라파전쟁이 벌어졌쟈?”라며 웃습니다. 6교시를 끝내고 집에 가는 길에 저는 뱃골을 감싸쥐고 신작로 옆 솔밭으로 기어들어가 ‘좋다는 우유’를 좔좔 쏟아냈습니다. 그제서야 뱃속이 좀 잠잠해지고 편해집니다. 그날 이후 우유와는 정말 친해지기가 쉽지 않았습니다. 우유를 넣은 라테커피를 안 마시는 것도 그런 사연 때문입니다. 누군가는 “2세를 위한 가장 좋은 투자는 아이들에게 우유를 먹이는 일”이라고 했다지만 몸이 받아들이지 않으면 도리없습니다. 요즘 애들은 없어서 못 먹는 우유를 줘도 못 먹었던 세대, 그 우울한 생체의 기억 속에서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휘청휘청 빈혈 앓으며 노오랗게 시들어 갔던지요?

jeshim@seoul.co.kr



2012-06-25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