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재억 전문기자의 건강노트] 봄날은 간다

[심재억 전문기자의 건강노트] 봄날은 간다

입력 2012-04-30 00:00
수정 2012-04-30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화개작야우 화락금조풍’(花開昨夜雨 花落今朝風) 조선시대의 문장가 송한필의 한시 한 구절입니다. 뜻을 새기자면 ‘지난밤 내린 비에 꽃이 피었더니 오늘 아침 바람에 다 지는구나’쯤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매양 겪는 일이지만 올해도 비바람에 속절없이 스러지는 꽃잎을 보며 잠깐씩 이런 상념에 젖곤 합니다. 이 시의 정서가 ‘봄날은 간다’는 옛 노래와 자꾸 겹쳐 후딱 지나가는 봄날 하루가 마치 생애의 한 구석이 무너지는 상실감으로 다가오기도 합니다.

그래, 올해 꽃구경은 하셨는지요. 생업에 얽매여 살다 보면 봄이 오는지, 가는지 모르고 지나치기 예사입니다. 문득, “어, 그새 봄이 왔다 갔네.”하고 뒤늦은 탄식을 내뱉고 아쉬워하는 게 사람들 사는 모습입니다. 올해도 그랬습니다. 사무실 창가에서 굼뜬 은행나무에 새순이 돋는 걸 봤고, 라일락 꽃망울이 벙글어 터지는 것을 멀찍이서 지켜봤을 뿐입니다. 누구는 “서울 올림픽대로변에 개나리가 만개했더라.”고 했지만 오늘 아침 그 길로 출근한 저는 눈에 쌍심지를 켜고 차만 몰았습니다. 그 길에서 눈을 빼앗겼다간 사고 나기 십상이니 도리없습니다. 출근하는 제게 운전 조심하라는 아내의 당부가 생각나 피식 웃고 맙니다. 다른 집 남정네들은 여기저기 꽃구경도 시켜주던데, 우린 뭐냐며 한참을 쫑알대더니 출근할 땐 ‘꽃’보다 ‘안전운전’이 생각났던 모양입니다. 따로 말하지 않아도 꽃놀이가 과외의 여흥임을 알 수 있는 일이지요. 그렇다고 제때, 제철을 느끼며 사는 게 중요하지 않은 일은 아닙니다.

짬을 내 들로, 산으로 가야만 봄을 느끼는 것은 아닙니다. 길거리 돌틈에서 싹을 틔운 민들레나, 누구네 담장에 기대 꽃망울을 터뜨린 목련을 보며 잠깐씩 걸음을 멈추는 것도 상춘(賞春)입니다. 상춘이란 겨울이 길고 추웠던 사람에게 더 절실한 법이니, 그걸 도락의 과잉이라고 여길 일은 아닙니다. 꼭 번잡한 나들이가 아니라 오가는 길에 작은 탄성이라도 뱉어낼 수 있다면 그것도 상춘이겠지요. 올봄에는 걍팍해진 마음을 수채화같은 봄빛으로 한번 물들여 보는 건 어떨까요. 쫓기며 사는 우리 모두의 정신건강을 위해서요.

jeshim@seoul.co.kr



2012-04-30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1 /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