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재억 전문기자의 건강노트] ‘쿨리지 효과’

[심재억 전문기자의 건강노트] ‘쿨리지 효과’

입력 2011-12-12 00:00
업데이트 2011-12-12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아무리 힘이 좋은 수탉이라도 한 암탉과는 계속해서 교미를 하지 않는다. 그런 수탉이 다른 암탉을 보면 언제 그랬냐는 듯 달려든다. 시골 마당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장면이다. 왜 그럴까. 이는 수탉이 타고난 바람둥이여서도 아니고, 정력이 절륜해 도저히 주체를 못해서도 아니다. 호르몬 탓이다. 도파민이라는 신경전달물질이 수탉을 흥분시키기도 하지만 결정적인 문제는 역시 ‘테스토스테론’이라는 남성호르몬에 있다.

미국 대통령이던 존 캘빈 쿨리지 2세가 부인과 함께 한 농장을 찾았다. 마당의 수탉 한 마리가 부인의 눈길을 사로잡았다. 돌아가면서 마당의 암탉들을 ‘요절’을 내고 있는 것이었다. 그 수탉이 부러웠던 부인은 격의없이 지내던 농장주에게 말했다.“저 수탉, 정말 대단하네요. 저러고도 끄떡없잖아요. 이걸 대통령께 꼭 좀 말해 주세요.” 이 말을 전해들은 쿨리지 대통령이 농장주에게 물었다. “그 수탉이 한 마리하고만 하던가, 아니면 매번 다른 암탉하고 하던가.” 농장주가 “매번 암탉을 바꿔가며 그 짓을 한다.”고 대답하자 대통령은 이렇게 말했다. “바로 그걸세. 그런 사실을 아내에게 꼭 전해 주게.” 멋진 수탉의 위세에 마음을 뺏긴 대통령 부인이 남편에게 여지없이 당한 꼴이 됐지만, 중요한 것은 그 수탉이 어디서 그런 신묘한 힘을 얻느냐이다.

호르몬 분비량이 줄어 아내에게는 성욕을 잘 못 느끼는 남성도 다른 상대를 만나면 새로운 자극을 받는다. 성호르몬 분비량이 늘어나기 때문이다. 새로운 자극이 없는 아내와 달리 낯선 여성은 그 자체가 자극이다. 성심리학자들이 ‘쿨리지 효과’(Coolidge Effect)라고 부르는 이런 현상이 ‘같이 살 만큼 산 부부’뿐만이 아니라 최근에는 젊은 부부에게서도 흔히 나타난다. 바로 ‘섹스리스 커플’이다. 그들이 이혼법정에서 말하는 ‘성격차’라는 것도 실은 성적(性的) 불화일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상대가 누구라도 쿨리지 효과가 나타난다는 점을 고려하면 매번 상대를 바꾸는 난행보다는 한 사람에게서 미처 몰랐던 새로움을 찾아가는 것이 더 도덕적이고, 경제적임은 두 말할 나위도 없다. 부부란 평생 서로를 알아가는 또다른 탐험의 대상이기 때문이다.

jeshim@seoul.co.kr



2011-12-12 24면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