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학교폭력 실태 전수조사
초등 5%·중학교 2.1%·고교 0.7%
사이버 폭력 늘고 민감도 높아져

서울신문
학교폭력을 당한 경험이 있다고 답한 전국 초·중·고교생 비율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특히 초등학교는 5년 연속 증가해 처음으로 5%를 넘겼다.
교육부는 17개 시도교육청과 ‘2025년 1차 학교폭력 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 피해 응답률이 2.5%로 지난해 1차 조사보다 0.4% 포인트 증가했다고 16일 밝혔다.
교육부의 학교폭력 조사는 한해 두차례 시행된다. 이번 1차 전수조사는 초등 4학년부터 고교 3학년생 326만명이 지난 4~5월 참여했다.
학생 피해 응답률은 전수조사가 실시된 2013년(2.2%) 이후 가장 높았다. 피해 응답률은 2019년 1.6%에서 코로나19로 원격 수업을 하면서 2020년 0.9%로 크게 줄었다가, 등교 재개 이후 매년 늘고 있다.
학교급별 피해 응답률은 초등학교 5.0%, 중학교 2.1%, 고등학교 0.7%로 모든 학교급에서 전년 대비 상승했다. 2024년 1차 조사보다 초등학생이 0.8% 포인트 늘어 상승률이 가장 컸고 중학생(0.5% 포인트), 고등학생(0.2% 포인트) 순이었다.

학교폭력 제로센터 지원단 등 현장에서는 피해응답률 상승 원인으로 교육과 미디어 등을 통해 학교폭력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이 확산한 점을 꼽았다. 교육부 관계자는 “다수에게 피해를 주는 사이버 폭력이 늘어난 것은 물론, 과거와 달리 학교폭력을 적극적으로 신고하는 등 학생과 학부모 민감도가 높아졌다”고 설명했다.
피해 유형은 언어폭력이 39.0%로 가장 많았고 집단 따돌림(16.4%), 신체 폭력(14.6%) 사이버 폭력(7.8%) 순으로 조사됐다. 지난해보다 늘어난 유형은 집단 따돌림(0.9% 포인트)과 사이버폭력(0.4% 포인트)이다.
교육부는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폭력 전담기구 심의 전 관계 회복을 위한 조정·상담을 진행하는 ‘관계회복 숙려제도’ 도입을 추진할 계획이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