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2년 내내 ‘싸강’인가” … 등록금 반환 갈등에 대학 ‘엑소더스’까지

“2년 내내 ‘싸강’인가” … 등록금 반환 갈등에 대학 ‘엑소더스’까지

김소라 기자
김소라 기자
입력 2021-02-04 16:36
업데이트 2021-02-04 16:4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5일 서울 서대문구 연세대 신촌캠퍼스의 한 강의실이 텅 비어 있다. 이 학교는 코로나19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 지침에 따라 1학기에 이어 2학기에도 중간고사 기간까지 모든 수업을 전면 온라인으로 진행하기로 했다. 오장환 기자 5zzang@seoul.co.kr
5일 서울 서대문구 연세대 신촌캠퍼스의 한 강의실이 텅 비어 있다. 이 학교는 코로나19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 지침에 따라 1학기에 이어 2학기에도 중간고사 기간까지 모든 수업을 전면 온라인으로 진행하기로 했다.
오장환 기자 5zzang@seoul.co.kr
코로나19 여파로 대학들이 올해도 비대면 강의를 이어가면서, 대학 생활 2년을 모니터 앞에서 보내게 된 대학생들이 불만을 넘어 허탈감을 드러내고 있다. 숭실대가 올해 1학기 ‘등록금 반환’의 물꼬를 트면서 다른 대학들에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4일 교육계에 따르면 숭실대학교는 4년제 대학으로는 처음으로 2021학년도 ‘코로나19 특별장학금’을 지급하기로 했다. 총 10억원 규모로 올해 1학기에 등록한 학생 전원에게 지급하며, 지급 시기와 방식, 학생별 지급액 등은 추후 결정한다.

숭실대가 사실상 처음으로 올해 1학기 등록금을 반환하면서 다른 대학으로 여파가 이어질지 주목된다. 대학들은 등록금 인하를 주장하는 학생들의 요구에도 올해 1학기 등록금을 동결한데다 지난 2학기 등록금 반환에 대한 논의도 지지부진한 상황이다. 특히 코로나19 상황에서 대학의 등록금 반환 근거가 되는 개정 고등교육법이 갈등의 불씨가 될 가능성도 있다. 각종 재난으로 대학 학사운영이 정상적으로 이뤄지지 않을 경우 대학이 등록금을 감면할 수 있는 법적 근거가 마련됐지만, 강제 사항이 아닌 탓에 등록금 반환을 요구하는 학생들과 재정난을 호소하는 대학들 간 줄다리기가 올해 말까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대학생들 사이에서는 “대학 2년을 ‘싸강(사이버 강의)’으로 흘려보내게 됐다”는 자조마저 나온다. 교육부가 새학기 초등학교 저학년의 등교를 확대하는 등 초·중·고등학교의 학사운영을 정상화하기 위해 지원하고 있지만 대학들에 대해서는 별다른 지침을 내놓지 않았다. 교육부가 지난해 초 코로나19 확산이 시작되자 “코로나19가 종식될 때까지 비대면 강의를 하라”로 지침을 내린 뒤 대학들은 무기한으로 비대면 강의를 이어가고 있다. 주요 대학들은 이번 1학기도 대부분의 강의를 비대면으로 진행할 계획이며 연세대는 1학기도 ‘전면 비대면’ 방침을 세웠다. 대학가에서는 2학기에도 정상적인 대면수업은 어려울 것이라는 게 중론이다.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이날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회장단과 만나 “대학에서는 비대면 교육이 내실 있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질 관리에 더 신경 써달라”고 당부했다. 교육부는 대학의 비대면 강의를 지원하기 위해 전국 10개 대학에 권역별로 ‘원격교육지원센터’를 마련하고, 학생들이 참여하는 원격수업관리위원회를 구성해 비대면 강의의 질에 대한 자율 관리 체계를 마련하도록 했다.

그러나 근본적으로 비대면 강의에 수백만원의 등록금을 내야 하는 학생들의 불만을 잠재우긴 어려운 상황이다. 대학생들은 코로나19로 길게는 2년간 정상적인 대학 생활을 할 수 없게 되면서 대학에 대한 소속감을 잃어가고 있다. 군입대나 휴학 등으로 돌파구를 찾는 한편, 2022학년도 대입에서 주요 대학의 정시모집 비율이 확대되면서 일찌감치 ‘반수’의 길을 택하고 있다. 서울의 한 4년제 대학에 다니는 양모(20)씨는 “대학 강의는 대충 듣고 고시나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는 친구들이 많다”면서 “3학년이 돼 대면강의가 재개돼도 정상적인 캠퍼스 생활은 불가능할 것 같아 각자의 계획을 세우고 있다”고 말했다.

김소라 기자 sora@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