現 고2 대입 때 서울 주요대 ‘정시 40% 룰’… 학종 줄어든다

現 고2 대입 때 서울 주요대 ‘정시 40% 룰’… 학종 줄어든다

김소라 기자
김소라 기자
입력 2020-04-29 23:14
수정 2020-04-30 04:3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조국發 대입제도 개편 후폭풍 예고

SKY대 등 9곳 다시 ‘수능시대’
고교 서열화·문제풀이 회귀 우려
‘정시 30% 룰’ 전략 짰던 고2 혼란
재수생 ‘강세’ 전망… 공정성 의문
이미지 확대
지난해 조국 사태로 현 고2 학생들이 치르는 대입에서 정시 40%가 현실화됐다. 2018년 공론화를 거쳐 마련된 ‘정시 30% 룰’을 사실상 무력화하는 대입제도 개편에 고2 학생들의 혼란이 불가피해졌다. 정시 확대로 고교 교육이 ‘문제풀이’로 회귀할 것이라는 우려도 크다.

29일 한국대학교육협의회가 발표한 ‘2022학년도 대학입학전형 시행계획’에 따르면 총 34만 6553명(전년 대비 894명 감소)을 선발하는 2022학년도 4년제 대학 입시에서 수시모집 선발비율은 75.7%(26만 2378명)로 전년 대비 1.3% 포인트 줄고 정시모집 선발비율은 24.3%(8만 4175명)로 1.3% 포인트 늘었다. 정시 수능위주전형으로는 전년 대비 1.5% 포인트 증가한 7만 5978명(21.9%, 수도권 대학 32.3%·비수도권 대학 15.7%)을 선발한다. 학생부종합전형으로는 7만 9503명(22.9%)을 뽑는다. 이는 전년 대비 1.9% 포인트 줄어든 것으로, 2015년 학종이 도입된 이래 처음으로 선발비율이 줄었다.

서울 주요 대학은 ‘정시 30% 룰’을 뛰어넘는 ‘정시 40% 룰’이 사실상 실현됐다. 지난해 조국 사태를 거친 뒤 교육부가 2023학년도 대입에서 정시 비율을 40% 이상으로 높이도록 한 서울 16개 대학 중 9개 대학(건국대·고려대·동국대·서강대·시립대·서울여대·연세대·한국외대·한양대)이 정시 비율을 40% 이상으로 높였다. 고려대는 18.4%에서 40.1%로 두 배 이상으로 늘렸으며 서울대도 21.9%에서 30.1%로 늘렸다.

교육부는 이들 대학이 2023학년도에 ‘정시 40%’를 달성하겠다는 계획을 제출할 경우 대학 재정지원사업인 ‘고교교육 기여대학 지원사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했다. 대부분의 대학이 1년 앞서 이를 상당 부분 달성한 것은 ‘교육부 눈치 보기’라는 게 중론이다. 반면 학종 비율은 줄어들었다. 연세대의 경우 전년도 48.9%에서 27.6%로 절반 가까이 줄고 고려대는 47.5%에서 36.3%로, 서울대도 78.1%에서 69.9%로 축소된다. 종로학원하늘교육의 분석에 따르면 이들 16개 대학은 정시로 4509명을 더 뽑고 학종으로는 4916명을 덜 뽑게 된다.

현 고2 학생들은 중3이던 2018년 발표된 ‘정시 30% 룰’에 따라 대입 전략을 세우고 고교에 진학했다. 서울 주요 대학의 정시 비율을 30% 선으로 예상하고 학종을 준비해 온 고2 학생들은 타격을 피할 수 없게 됐다. ‘사교육 특구’ 학생들과 재수생들이 수능에서 강세라는 점 때문에 ‘대입 공정성’에 대한 의문도 여전하다.

전통적인 명문고와 자율형사립고·외국어고 등의 선호도가 높아질 전망이다. 정의당 정책위원회는 이날 논평을 내고 “학생들이 특기와 적성에 맞춘 과목이 아닌 ‘점수 잘 나오는’ 과목 위주로 수업을 듣게 된다”며 “대선 공약인 고교학점제가 왜곡될 것”이라고 비판했다.


신동원 서울시의원 “서울주택도시개발공사, 백사마을 주민 불이익 해소 위해 공정 보상 나서야”

서울특별시의회 보건복지위원회 신동원 의원(노원1·국민의힘)은 지난 28일 제332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 시정질문에서 서울주택도시개발공사(SH공사) 황상하 사장을 상대로 백사마을 주택재정비사업 과정에서 드러난 이주대책·보상 문제를 집중 추궁하며, “주민 불이익을 신속히 해소하고 공정한 보상 대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신 의원은 “백사마을의 무허가주책 가옥주들은 수십 년간 해당 지역에 터를 잡고 살아온 고령층 및 저소득층 주민들이 대부분이다. 이들은 재개발 사업 앞에서 한없이 취약해지는 사회적 안전망의 사각지대에 놓인 대표적인 주거 약자”라고 강조했다. 이어 “백사마을은 주거지 보전지역 해제로 세대가 741세대 늘어나 사업성이 개선됐음에도, 무허가주택 가옥주들에 대한 입주권 기준일을 1981년으로 제한해 주민 불이익이 계속되고 있다. 타 재개발 지구처럼 형평성 있는 보상 방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신 의원은 SH공사가 시행한 타 재개발 지구에서 임대아파트 입주권을 부여했던 사례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백사마을 주민에게는 동일한 혜택을 적용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하며 “백사마을 주민만 차별을 받는 것은 형평성에 어긋나며, 이는 명백한 불공정 사례”
thumbnail - 신동원 서울시의원 “서울주택도시개발공사, 백사마을 주민 불이익 해소 위해 공정 보상 나서야”

김소라 기자 sora@seoul.co.kr
2020-04-30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