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부진아 대안 찾기] <4>구산초 방학 학습관리 캠프

[학습부진아 대안 찾기] <4>구산초 방학 학습관리 캠프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16-02-15 22:54
수정 2016-02-16 10:2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마인드맵·코넬·…필기법도 배우는 거야, 수영처럼

서울학습도움센터 프로그램 응용…제대로 공부하는 법 배우도록 유도

이미지 확대
최혜숙 서울학습상담센터 학습상담사가 구산초 학생들을 대상으로 노트 필기에 대한 설명을 하고 있다.
최혜숙 서울학습상담센터 학습상담사가 구산초 학생들을 대상으로 노트 필기에 대한 설명을 하고 있다.
“이번엔 누가 발표해 볼까?”

최혜숙 학습상담사의 말에 6학년 태훈(가명)이가 손을 번쩍 들더니 앞으로 나왔다. 태훈이는 친구 앞에서 자신이 필기한 노트를 펼치고 “우유의 다양한 변신을 마인드맵으로 그려 봤다”고 말했다.

태훈이는 노트 한가운데에 ‘우유의 다양한 변신’이라 적고 이를 중심으로 ‘우유의 종류’와 ‘우유의 뜻’, ‘만드는 방법’, ‘우유로 만들 수 있는 것’이란 단어를 나뭇가지처럼 선으로 연결해 그린 뒤 각각 설명을 붙였다. 태훈이는 “마인드맵으로 그려 보니 한눈에 들어와 공부하기 더 쉬웠다”면서 “중학교에 올라가서도 이렇게 필기할 것”이라고 했다.

지난달 28일 서울 은평구 구산초등학교에서 열린 ‘나를 알GO 공부를 알GO 학습전략 캠프’에는 6학년 24명, 5학년 8명, 4학년 8명 등 모두 40명이 참여했다. 8명씩 한 조를 이룬 학생들은 ‘김치의 종류’와 ‘우유의 변형’을 주제로 마인드맵과 코넬식 노트 필기 방식 중 하나를 골라 필기한 뒤 친구에게 설명하는 시간을 가졌다.

태훈이에 이어 은정(가명)이가 코넬식 노트 필기로 김치의 종류에 대해 설명했다. 코넬식 노트 필기는 제목, 키워드, 내용, 요약정리로 표를 그려 필기하는 방식이다. 은정이는 제목란에 ‘김치의 종류’, 키워드란에는 ‘김치, 북부, 중부, 남부’라고 적었다. 키워드에 각각의 내용을 모두 쓴 뒤 하단 요약정리란에 ‘김치의 맛은 지방마다 다르다’고 적었다. 은정이는 “이런 노트 필기 방법이 있다는 게 신기했다”면서 “글로 무작정 쓰는 것보다 이해가 훨씬 잘됐다”고 말했다.

이미지 확대
단어를 나뭇가지처럼 연결해 작성하는 마인드맵 필기법(왼쪽)과 제목·키워드·내용을 표로 그리는 코넬식 필기법(오른쪽).
단어를 나뭇가지처럼 연결해 작성하는 마인드맵 필기법(왼쪽)과 제목·키워드·내용을 표로 그리는 코넬식 필기법(오른쪽).
구산초의 이번 캠프는 서울시교육청 산하 서울학습도움센터의 5일짜리 프로그램인 ‘방학 학습관리 캠프’를 학교 사정에 맞게 변형한 것이다. 서울학습도움센터가 학습부진아를 대상으로 1대1로 진행하는 ‘맞춤형 학습상담’, 그룹별로 방과 후에 진행하는 ‘학습전략’과 구성은 비슷하다. 학생들은 캠프에서 자신의 공부 목표를 점검하고 집중력을 방해하는 것을 없애는 방법과 유용한 공부방법을 배운다. 다만 5일 일정을 4일로 압축하고 나머지 하루는 서울대 탐방 등을 넣어 학생의 흥미를 높였다.

방학 학습관리 캠프는 짧은 기간 진행돼 집중적으로 가르칠 수 있어 인기가 많다는 게 학교 측의 설명이다. 지난해 여름방학 동안 서울의 97개 초등학교와 중학교가 시교육청의 지원을 받았지만 이후 지원금이 끊겼다. 하지만 구산초를 비롯해 10개 학교가 학교 자체 예산으로 이번 겨울방학에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구산초는 학습부진아뿐 아니라 전체 학생을 대상으로 방학 학습관리 캠프를 진행한다. 학습부진아뿐 아니라 중상위권 학생도 공부 방법을 배워야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이는 구산초가 2년 전 5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학습전략 활용을 조사한 뒤 내린 결정이다. 당시 읽기 3개, 쓰기 3개, 암기 4개 등 모두 10개의 학습전략 방법을 조사해 보니 전교생 평균이 1.5개에 불과했다. 이 학교 최현주 연구부장은 15일 “학습부진아뿐 아니라 상위권 학생도 공부하는 방법을 모른 채 공부한다는 것을 보여 준 결과”라며 “수영에서 기술을 배워야 기록을 갱신할 수 있는 것처럼 공부도 제대로 된 학습방법을 배워야 한다”고 말했다.

박우자 교감은 “2년 동안 운영하는 과정에서 입소문이 나면서 이번 방학에도 진행했다”면서 “중학교에 앞서 초등학교 때 제대로 된 공부 방법을 배울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김용호 서울시의원, 용강중학교 인조잔디 운동장 완공식 축사 및 시설점검

서울시의회 도시안전건설위원회 부위원장으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호 시의원(국민의힘, 용산1)은 지난 27일 용산구 이촌1동 소재 용강중학교 인조잔디 운동장 완공식에 참석, 축사와 함께 시설점검을 했다. 이날 행사에는 김 의원을 비롯해 용강중학교 권충환 교장, 이태승 교감, 최광호 축구부장, 장태우 축구감독, 학교운영위원회 김민영 위원장, 축구부 학생 등 70여명이 참석하여 인조잔디 운동장 완공을 축하했다. 김 의원은 지난 7월 말에도 학교를 직접 방문해 공사 현장 및 진행 상황을 점검하고 관계자들을 격려하는 등 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꾸준히 관심을 기울여왔다. 용강중학교는 오랫동안 학생들의 체육활동 공간 개선을 위해 인조잔디운동장 조성을 숙원사업으로 추진해 왔으며, 학부모와 학교 관계자들의 지속적인 요청과 성원이 이어져 왔다. 김 의원은 인사말에서 “지난 연말 2025년도 서울시 예산 편성 과정에서 6억5천만 원이라는 큰 예산을 확보하는 데 어려움도 있었지만, 이를 확보한 결과 지난 7월 초 공사를 착공할 수 있었고 오늘 드디어 완공을 보게 되어 감회가 깊다”며 “특히 인조잔디구장 건립을 오랫동안 염원해온 학교 관계자와 학부형들, 일반 학생들
thumbnail - 김용호 서울시의원, 용강중학교 인조잔디 운동장 완공식 축사 및 시설점검

글 사진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16-02-16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