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서울대 꿈꾸는 최상위권 아니라면 ‘한국사’ 피해야

서울대 꿈꾸는 최상위권 아니라면 ‘한국사’ 피해야

입력 2013-01-22 00:00
업데이트 2013-01-22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서울대, 한국사 필수 지정… ‘2014 수능’ 유리한 탐구영역 선택과목은

2014학년도 수능의 선택형 시험 도입으로 국어·영어·수학 영역에서 큰 변화가 예상되는 것과 달리 사회 및 과학탐구 영역은 선택과목 수가 최대 3개에서 2개로 줄어드는 것 외에 별다른 변화가 없다. 이런 이유 때문에 많은 수험생들이 국·영·수 과목에 노력과 시간을 집중적으로 투자하지만 정보에 빠른 수험생들은 벌써부터 탐구영역 과목 선택을 두고 고민에 빠졌다.

이미지 확대
최근 몇년간 유지된 ‘쉬운 수능’ 기조가 계속될 경우 탐구영역이 대학 합격의 큰 변수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올해는 서울대가 ‘한국사’ 과목을 사탐 영역의 필수 선택과목으로 지정하면서 중위권 수험생들의 한국사 기피 현상이 예상되는 등 탐구영역 과목 선택에서 고려해야 할 변수가 많다. 예비 수험생들의 탐구영역 과목 선택을 돕기 위해 서울대의 한국사 필수 지정과 과목별 난이도 등에 따른 유불리를 따져봤다.

서울대가 ‘국사’를 사탐영역의 필수과목으로 지정했던 2005년, 그해 수능에서는 국사를 선택하는 학생 수가 전년도에 비해 크게 줄어드는 현상이 나타났다. 서울대 진학을 노리는 최상위권 학생들이 국사 선택으로 몰리면서 상대적으로 중상위권과 중위권 학생들이 다른 과목으로 피해갔기 때문이다.

2004년 치러진 2005학년도 수능에서 사회탐구 응시 학생 가운데 47%가 국사를 선택했으나 2006학년도 수능에서는 31%로 줄어들었다. 이후 2011학년도 수능에서 16%까지 줄어든 이후 2012학년도에는 12%(4만 3441명), 가장 최근의 2013학년도 수능에서는 13%(4만 3918명)의 수험생만이 국사를 선택했다. 국사는 모두 11개의 사탐 과목 가운데 2004년에는 다섯 번째로 많은 학생들이 선택하는 과목이었으나, 2011년에는 8위로 떨어졌다.

2014학년도 수능 개편과 맞물려 서울대가 한국사를 또다시 필수과목으로 지정하면서 수험생들의 기피현상이 반복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치러진 고등학교 2학년 교육청 전국연합고사를 보면 6·9월에는 23%가 한국사를 선택했으나 서울대의 한국사 필수 지정 이후에 치러진 11월 시험에서는 15%로 줄었다.

이처럼 수험생들이 서울대 필수 지정과목을 기피하는 이유는 표준점수에서 불리하기 때문이다. 최상위권 수험생들이 몰리는 탓에 변별력을 위해 어렵게 출제할 뿐 아니라 고득점자가 많아 표준점수를 높게 받기 어렵다. 2012학년도 수능에서도 국사는 평균 23점으로 사탐 선택과목 11개 중에 가장 어려웠으나, 최상위권 학생들이 몰린 탓에 3점짜리 1문제만 틀려도 2등급으로 내려앉는 현상이 나타났다.

이처럼 서울대 필수지정 과목은 난도가 높고 한 문제만 틀려도 등급이 떨어지는 불리함 때문에 상당수 수험생들의 기피과목이 되고 있다. 올해 수능에서도 한국사에 대한 기피현상은 반복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렇다면 어떤 과목을 택하는 것이 가장 유리할까. 올해 수능부터 탐구영역의 선택과목 수가 한과목 줄어들면서 어떤 과목을 택했는지에 따라 전체 성적 등급의 유불리 편차가 심해지게 돼 과목선택이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 한 과목을 선택한 전체 인원 수나 교과의 특성에 따라 점수 분포가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전략적인 선택이 필요하다.

우선, 서울대를 목표로 하는 최상위권 학생이 아니라면 선택과목에서 한국사를 택하지 않는 편이 좋다. 최상위권 학생들의 선택이 많을 것으로 예상되는 과목은 난도가 높게 출제되고 표준점수에서 그만큼 불리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만일 중상위권 학생 가운데 적성과 특기를 고려해 한국사를 선택하려는 학생은 해당 과목의 점수가 낮게 나올 것을 대비해 제2외국어를 함께 준비하는 것이 좋다.

교과 내용이 쉽다고 해서 수능에서 무조건 해당 과목을 선택하면 낭패를 볼 수 있다. 올해 수능부터 새롭게 도입된 선택과목인 ‘생활과 윤리’는 교과내용이 쉬워 많은 학생들이 선택하는 과목이다. 내용이 쉽다보니 많은 수험생들이 시험 준비 부담을 덜 수 있다고 여기지만, 난도가 낮은 만큼 1·2등급 커트라인 점수가 다른 과목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된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이 경우 실수로 한두 문제만 틀려도 등급이 두세 단계나 떨어질 수 있다. 반면 표준점수 최고점은 다른 과목에 비해 낮게 나타나 상위권 학생들은 피하는 것이 좋다.

이 밖에도 문제가 어려울수록 표준점수 최고점이 높게 나오기 때문에 최상위권 학생은 ‘경제’ 등 상대적으로 공부하기 어려운 과목을 선택하는 것이 유리하고, 중위권 학생은 ‘윤리’, ‘사회·문화’, ‘한국지리’ 등 인원이 많은 과목을 택하는 것이 무난하다. 응시생이 많으면 표준점수가 안정적으로 나올 가능성이 높고, 이는 난이도 조절 실패로 인한 불이익이 상대적으로 적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과학탐구의 경우 심화과목인 Ⅱ과목을 선택할 때Ⅰ과목과의 연계성을 생각해 봐야 한다. 일반적으로 같은 과목 Ⅰ·Ⅱ의 경우 관련된 개념이 많아 함께 선택하면 기본원리 이해와 문제 풀이에 큰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Ⅱ과목의 경우 응시생이 많지 않아 상위권 학생이 아니면 고득점을 얻기 쉽지 않다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

일부 대학에서는 심화 선택Ⅱ(물리Ⅱ, 화학Ⅱ, 생명과학Ⅱ, 지구과학Ⅱ) 과목을 필수로 선택하도록 하거나 같은 과목 내에서 Ⅰ·Ⅱ를 모두 선택할 경우 Ⅱ과목 선택으로 인정하지 않는 등 변수가 있으므로 자신이 지망하는 대학의 입시요강을 살펴본 뒤 과목을 선택해야 한다.

윤샘이나 기자 sam@seoul.co.kr

2013-01-22 22면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