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 토속어류센터, 어린 동자개 50만마리 안동호 등에 풀어

경북도 토속어류센터, 어린 동자개 50만마리 안동호 등에 풀어

김상화 기자
김상화 기자
입력 2022-09-22 13:09
수정 2022-09-22 13:0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4억원 이상 어민 소득증대 예상

어린 동자개. 경북도 제공
어린 동자개. 경북도 제공
경북도는 22일 어린 동자개 50만 마리를 안동호와 임하호, 주요 하천 등에 방류했다.

도 수산자원연구원 토속어류산업화센터의 노지 사육장에서 관리해온 어미에서 인공 채란한 후 수정·부화해 4개월간 기른 몸길이 4∼6㎝ 크기다.

토속어류산업화센터는 어업인 고소득에 기여하기 위해 연구를 진행한 끝에 지난해 어린 동자개 20만마리 시험 양식에 이어 올해 50만마리를 대량 생산하는 데 성공했다.

어미 관리부터 인공수정, 생산까지 영구적인 대량 생산 시스템을 구축했다.

동자개는 우리나라 서해와 남해로 흐르는 하천에 주로 서식하는 야행성으로 유속이 완만한 하천 중·하류 모래와 진흙이 많은 곳에 서식한다. 가슴지느러미와 몸통이 부딪힐 때 ‘빠각’하는 소리가 나 ‘빠가사리’라는 이름으로 더 많이 불린다.

메기목에 속하며 메기와 모양은 비슷하지만 크기가 작다. 노란색 바탕에 등과 몸의 옆면 중앙에 줄무늬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잔가시가 없고 살이 많아 먹기가 편하고 끓여 먹으면 맛이 좋아 매운탕과 찜 등 음식 재료로 많이 이용된다.

산란 시기 어미는 ㎏당 4만∼6만원에 판매되는 경제성 어종이다.

지상철 토속어류산업화센터 소장은 “이번 어린 동자개 방류로 4억원 이상의 직접적 어민 소득증대 효과가 기대된다”고 말했다.

한편 센터는 어린 빙어(몸길이 3∼4㎝급) 3만 마리를 생산해 국내에서 처음으로 지역 주요 댐에 방류했다. 버들치, 동자개는 지난해 27만 마리를 대량생산한 바 있다. 특히 센터가 문을 연 2015년부터 지금까지 총 1120만 마리를 방류해 모두 199억원의 어업소득 효과를 가져왔다.
어미 동자개. 경북도 제공
어미 동자개. 경북도 제공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