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병선의 메멘토 모리] 글 쓰는 이들의 ‘빨간펜’ 이수열 선생

[임병선의 메멘토 모리] 글 쓰는 이들의 ‘빨간펜’ 이수열 선생

임병선 기자
입력 2021-08-26 09:05
수정 2021-08-26 09:0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6시에는 일어나야죠. 신문 보는 건 필수고. 신문 안 보는 사람 있겠어요, 다 신문 보지. 난 신문 보는 목적이 다른 사람보다 하나 더 있는 셈이지, 이런 거 고쳐 보내는 거.”

지난 2011년 10월 서울신문STV에서 한글날을 맞아 국어학자 이수열 선생을 인터뷰했을 때 내용의 일부다. 신문과 방송 기사, 칼럼 등의 잘못된 표현을 바로잡은 편지를 30년 가까이 보내 ‘기자들의 교열 선생님’으로 알려진 그가 94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는 소식을 뒤늦게 들었다. 가족들은 고인이 신장암으로 투병하다 지난 24일 밤 9시쯤 세상을 떠났다고 25일 밝혔다.

10년 전 인터뷰한 후배 기자가 “건강이 좋지 않으시다고 들었는데”라고 질문하자 “신문을 못 읽을 정도는 아니죠. 그런데 확실히 걸음이 둔하고, 힘들어요. 조금씩. 그래도 하는 데까지 하는 거죠”라고 답했던 그였다. 당시 인터뷰를 생생하게 듣는 것도 좋겠다고 생각한다.

“(한겨레신문의) 창간호 봤는데, 읽다보니 잘못된 표현이 있어서 고쳐 보내주기 시작했죠. 고쳐 보내면 답장이 와. 고맙다고... 그때 답장 받은 것도 한 뭉텅이 있는데. 일간지 전부 사서 교수들이 쓴 글은 모조리 잘라내서 이런 식으로 (고쳐 써서) 보냈죠.

한심하죠. ‘입장’이라는 단어를 빼면 말을 못하니. 입장이 우리말이 아닌데. 국회의원이고, 장관이고, 교수고. 전부 ‘입장’을 빼면 말을 못하잖아요. 그게 어떻게 ‘입장’이에요. 견해, 주장, 원칙, 그런걸 전부 입장이라고 말한다고.

교과서에 있는 문장도 전부 그 모양이고, 학교 국어선생들도 뭐가 잘못됐는지 모르고, 잘못된 말로 가르치고. 그러니까 우리말이 영 좋아질 턱이 없는 거에요.

말 제대로 못하는 인간은 사고방식도 틀렸어. 언어종속, 종살이 하는 거에요. 일제시대에는 그 지배를 받으니 할 수 없이 일본말을 했는데, 지금은 왜 자진해서 영어를 하느냐는 말이야.

(몇년 전) 하이서울 페스티벌이라고 선언을 하는데 여기에 하이서울이라고 티셔츠에 실로 뜬 걸 입었어요. 단에 올라가 이걸 가리키면서 “하이서울” 그러더니, 영어로 “위 아 서울라이트(We are Seoulite)”, 우리는 서울시민이다, “위아(We’re) 뉴요커”하듯이. 그렇게 선언을 했다고. 내가 그걸 보고 해괴한 짓거리라고(했는데) 외국사람들도 ‘영어 오남용 너무 심하다’는 칼럼을 썼거든요, 외국인도 이런 말을 하는데 얼마나 부끄러운가.”

1928년생인 고인은 초등학교 졸업 학력으로 1943년 최연소로 초등교원 자격을 얻어 1944년부터 48년 동안 초·중·고교 교사로 활동했다. 1993년 2월 서울여고 국어교사로 정년 퇴임하기까지 국내에서 가장 오래 교사 생활을 한 이로도 기록됐다.

퇴임을 전후해 오랫동안 우리말을 바로잡는 데 힘썼다. 새벽에 일어나 방송과 신문을 모두 살펴보고 기사의 잘못된 표현을 빨간 펜으로 수정해 기자들에게 편지를 보냈다. 대학교수들의 글에도 빨간 펜을 대 한 해에 고인의 편지를 받은 이가 5000명에 이르는 것으로 전해졌다.

아래 칼럼의 필자는 나중에 청와대에서 일할 정도로 이름이 알려졌다. 오래 전 문장을 갖고 이름에 흠집을 내는 것 같아 얼굴과 이름, 당시 직함 등을 가렸다. 다만 고인이 얼마나 꼼꼼하고 정성을 기울여 잘못을 바로잡으려 했던가 돌아보기만 했으면 한다.
1994년에 낸 첫 책 ‘우리말 우리글 바로 알고 바로 쓰기’는 고 이오덕 선생의 ‘우리 글 바로쓰기’와 더불어 이 분야 최고의 교과서로 손꼽힌다. ‘우리말 바로 쓰기’, ‘우리글 갈고닦기’,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대한민국 헌법’, ‘말이 올라야 나라가 오른다’ 등을 냈다. 헌법 문장부터 잘못됐다고 지작했다.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1조), ‘모든 국민은 ∼할 권리를 가진다’(10조)는 ‘국민에게서 나온다’, ‘∼할 권리가 있다’로 고쳐야 한다고 강조하곤 했다.

김용일 서울시의원, 남가좌1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정기회의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달 30일 남가좌1동 주민센터 커뮤니티실에서 열린 남가좌1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회장 홍기윤) 제3차 정기회의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에는 이나령 동장과 지역사회 복지관장 등도 참석했다. 남가좌1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는 36명의 회원으로 구성된 관내 최다 인원 단체로, 지역 내 다양한 행사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지역 복지 증진에 기여하고 있다. 이날 회의에서는 전반기 주요 행사 성과 보고가 진행되었다. 삼계탕 나눔 행사, 치매 예방 교육, 독거 어르신 반찬 지원 사업 등 협의체의 활발한 활동 내역이 공유됐으며, 김 의원은 특히 지역사회보장협의체 활동 내용을 담은 책 발간을 추진하는 것에 대해 경의를 표했다. 이어 올가을 개최 예정인 구민 체육대회와 가재울 축제, 어르신 그림 그리기 대회, 요리 여행, 이불 증정 행사 등 하반기 사업 계획에 대한 심도 깊은 논의가 이어졌다. 김 의원은 회원들에게 관내 시립도서관 건축 현황과 홍제천 관련 사업 내용 등 서울시 예산 지원 현황을 설명하며, 서울시의원으로서 올 상반기 의정활동 내역을 전했다. 또한 김 의원은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남가좌1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정기회의 참석

한글학회는 2004년 고인을 우리글 지킴이로 위촉했다. 2014년 제36회 외솔상 수상자로 뽑혔다. 얼마 전까지 솔애울국어순화연구소 소장을 지냈다. 고향인 파주 송라동의 우리말이 ‘솔애울’이다. 빈소는 가톨릭대 은평성모병원 장례식장 10호에 마련됐다. 발인 27일 오전 6시 30분.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