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성산포 일대 해안에 속하는 신양 해안사구와 신양리층이 천연기념물로 지정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사진은 성산일출봉과 신양리층. 제주자연의벗 제공
제주 성산읍의 해안에 펼쳐진 신양 해안사구와 신양리층이 천연기념물로 지정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환경단체 ‘제주자연의 벗’은 지난 27일 성명을 내고 “신양 해안사구와 신양리층은 지질학적·생태학적 가치가 탁월하다”며 “제주도지사는 이 지역의 천연기념물 지정을 국가유산청에 신청하라”고 촉구했다.
앞서 지난 25일 열린 한국내셔널트러스트 ‘제23회 이곳만은 지키자 시민공모전’에서 제주자연의벗이 신청한 ‘신양 해안사구와 신양리층’이 환경부장관상을 수상했다. 심사위원단은 “지질·생태·경관적 가치가 뛰어나며, 제주 해안사구 보전조례 제정과 맞물려 법적 보전의 전기가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 제주자연의벗 ‘신양 해안사구와 신양리층’ 환경부장관상… “법적 보전의 전기 될 것” 기대신양리층은 약 5000년 전 성산일출봉이 폭발할 당시 형성된 화산성 해안 퇴적층으로 지질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곳으로 평가받고 있다.
성산일출봉의 응회암이 파도에 깎여 이동한 뒤 연안류에 의해 해안가에 쌓여 만들어졌다. 지질학 교과서 ‘지질학개론’에도 “우리나라에서 가장 젊은 신생대 제4기층”으로 소개될 만큼 학술적 가치가 높은 곳으로 주목하고 있다.
신양 해안사구는 신양리층의 부서진 모래가 오랜 세월 바람에 쌓여 형성된 자연지형으로, 길이 약 3㎞·높이 20m에 달한다. 해안선 따라 이어지는 모래언덕은 마치 오름의 능선을 닮았고, 사구 일대는 국내 최대 규모의 순비기나무 군락지로 꼽힌다. 총면적만 34만 5000㎡에 이르며, 염생식물 176종이 자생한다.
제주자연의벗 관계자는 “신양리층과 해안사구는 생성 시기만 다를 뿐 성산일출봉의 분출 활동과 직접적으로 연결된 한 몸의 지질계”라며 “성산일출봉과 함께 보전해야 할 자연유산”이라고 강조했다.
성산일출봉과 신양리층. 제주자연의벗 제공
# 탐방로 개설 이후 순비기나무 군락 등 훼손 위기… “시·도 자연유산 지정부터 시작해야”하지만 이 일대는 이미 훼손이 진행 중이다. 탐방로 개설과 차량·말 진입, 탐방객 이동 등으로 사구의 일부가 무너져 내렸고, 순비기나무 군락의 생태적 균형도 흔들리고 있다.
신양 해안사구의 주된 식생인 순비기나무는 제주 해녀 문화와도 깊은 관련이 있다. 제주에서는 이를 ‘숨비기’ 또는 ‘숨부기’라 부르며, 해녀들이 잠수 후 두통을 완화하기 위해 순비기 열매를 베갯속에 넣거나 전초를 달여 향을 맡았다고 전한다.
또한 이 나무의 깊고 넓게 뻗은 뿌리는 사구의 모래를 단단히 붙잡아주는 자연 방풍·방사 기능을 한다.
최근에는 제주도가 탄소저장 능력이 큰 염생식물 복원 사업의 대표종으로 순비기나무를 선정하기도 했다.
‘자연유산법’ 제40조에 따르면 지형·지질 자원 중 천연기념물로 지정되기 위해서는 ‘지질구조운동, 화산활동, 풍화·침식·퇴적작용 등에 의해 형성된 자연지형인 것’, ‘한국의 특이한 지형현상을 대표할 수 있는 육상 및 해양 지형현상인 것’ 등이 필요하다. 전문가들은 신양 해안사구와 신양리층이 ‘자연유산법’이 정한 천연기념물 지정 요건을 충분히 충족한다고 보고 있다. 지질학자들은 신양리층과 해안사구를 “성산일출봉의 형성과정을 완성하는 마지막 지질 조각”으로 보고 있다.
현재 제주에서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지형·지질 자원은 성산일출봉, 거문오름, 김녕굴과 만장굴, 사람발자국 화석산지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제주자연의 벗은 “이 법률을 적극 활용해 제주도지사가 신양해안사구와 신양리층을 시·도 자연유산으로 먼저 지정하기를 바란다”며 “이와 함께 천연기념물 지정 신청도 서둘러야 한다”고 주문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