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 위 연구소’ 탐해3호, 포항에서 취항… 해저자원 탐사 착수

‘바다 위 연구소’ 탐해3호, 포항에서 취항… 해저자원 탐사 착수

김상현 기자
김상현 기자
입력 2024-06-03 14:17
업데이트 2024-06-03 14:1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항해 중인 탐해3호.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제공
항해 중인 탐해3호.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제공
전 세계 바다에서 해저자원을 탐사하고 지질을 조사할 탐사연구선 ‘탐해3호’가 포항에서 취항했다. 이 탐사연구선은 미국 지질조사소에가 공동연구를 요청할 정도로 세계적 수준의 탐사 능력을 보유한 배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지난달 31일 오후 2시 포항 영일만항에서 ‘최첨단 3D/4D 물리탐사연구선 탐해3호 취항식’을 개최했다고 3일 밝혔다. 취항식에는 이평구 한국지질자원연구원장, 최남호 산업통상자원부 2차관, 이강덕 포항시장, 유상철 HJ중공업 대표이사와 관계자 250여명이 참석했다.

92m길이의 탐해3호는 대륙붕·대양·극지 등 전 세계 모든 해역에서 해저 자원탐사를 수행할 수 있는 6862t 규모의 연구선이다.

국비 총 1810억원이 투입돼 건조했으며 최첨단 탐사·연구장비 35종이 탑재됐다.

탐해3호는 1996년부터 27년간 국내 유일의 물리탐사연구선으로 해저 자원탐사를 수행했던 ‘탐해2호’를 대체해 국내 대륙붕을 시작으로 극지를 포함한 국내외 해저 자원탐사를 수행한다.

3차원 해저 물리탐사 뿐만 아니라 시간에 따른 지층 변화를 탐지하는 4차원 탐사까지 가능해 해저 자원개발과 함께 국내 해저 단층을 분석, 해저지진 위험요인을 탐지할 수 있다. 또 이산화탄소 지중 저장(CCS)을 위한 입지 선정 등 다양한 영역에 사용된다.

이 탐사선에는 국가 해저자원탐사역량 고도화의 취지에 맞게 기존 탐해2호에 비해 탄성파 수신 스트리머는 8배 높고, 강력한 압력파를 발생시키는 에어건 시스템은 1.5배 확대했다.

해저 바닥에 진수해 파동을 기록하는 OBN(해저면 노드형 수진기) 장비 400대도 장착해 해양 탄성파 탐사의 범위도 넓어졌다.

얼음이나 빙산에 부딪혀도 견딜 수 있는 내빙 및 동적위치 제어기능도 탑재해 극지방 등에서도 탐사가 가능하다. 탐해3호는 다른 종합연구선에 비해 탐사장비 비율이 월등히 높아 ‘바다 위 연구소’로 불린다.

이평구 지질자원연구원장은 “탐해3호가 공식 취항함에 따라 우리나라는 해저 자원탐사, CCS및 가스하이드레이트 연구개발 사업 등 국가 정책의 효율적 추진 및 세계적 이슈 대응을 위한 최첨단 연구 인프라를 확보하게 됐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포항 김상현 기자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