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점 만점에 6.61점’ 행복지수 내려간 서울 시민

‘10점 만점에 6.61점’ 행복지수 내려간 서울 시민

김민석 기자
김민석 기자
입력 2024-05-10 01:07
업데이트 2024-05-10 01:0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市 ‘2023 서울서베이’ 조사 결과
교육·보육·보행 환경 만족도 줄어
외국인도 6점대… 전 항목서 하락

지난해 서울에 거주한 내국인과 외국인의 행복지수가 모두 전년 대비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행복지수는 서울시민의 자부심, 외국인이 평가한 서울의 이미지 등 대부분 항목에서 전년 대비 떨어졌다.

이런 결과는 서울시가 9일 발표한 ‘2023 서울서베이’를 통해 드러났다. 서울서베이는 서울시가 2003년부터 매년 조사해 발표하고 있다. 이번 조사는 총 2만 가구(15세 이상 가구원 3만 5881명)를 대상으로 진행했으며 서울에 91일 이상 체류한 외국인 2500명도 조사 대상이었다.

지난해 서울시민 행복지수는 10점 만점에 6.61점으로 전년의 6.71점에 비해 하락했다. 전년과 비교해 건강, 재정, 관계, 가정생활 등 사회생활 분야를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수치가 떨어졌다.

세부적으로 서울시민은 공교육과 사교육 환경 만족도가 모두 떨어졌다고 응답했다. 보육시설 이용 만족도도 전년보다 낮았다. 시민들은 보행 환경 역시 전년에 비해 악화된 것으로 느꼈다.

서울시민으로서의 자부심도 100점 만점에 68.4점으로 전년 대비 2.1점 하락했다.

지난해 서울에 거주한 외국인이 평가한 서울의 이미지도 전년 대비 하락했다. ‘다문화에 대한 포용 도시’ 항목을 제외한 모든 항목이 1년 전에 비해 떨어진 수치를 기록했다.

외국인들이 평가한 서울 행복지수도 6.83점으로 전년의 7.07점 대비 0.24점 하락했다. 서울 거주 외국인이 평가한 삶의 질 만족도도 주거·경제·복지·사회·교육·안전 등 전 항목에서 떨어졌으며 사는 데 느끼는 어려움도 전년에 비해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시 관계자는 “코로나19 팬데믹 당시보다 삶의 질 지표가 많이 상승한 2022년과 비교해 지난해에는 서울시민들이 다소 냉정한 평가를 내렸을 수 있다”면서 “모든 조사 결과를 해당 실국에 전달해 만족도 상승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민석 기자
2024-05-10 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