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 등 45개국 교육지표 발표 공교육비, 초중고 늘었지만 대학 줄어 대학 교육비 민간 부담 61%로 상승 고용률은 낮아…학력별 임금 격차 커져
한 취업박람회에서 구직자들이 채용정보를 살펴보는 모습. 서울신문 DB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한 취업박람회에서 구직자들이 채용정보를 살펴보는 모습. 서울신문 DB
한국의 초중고교 학생의 1인당 공교육비는 늘었지만 대학생 공교육비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부와 한국교육개발원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회원국 38개국과 비회원국 7개국 등 총 45개국을 대상으로 조사한 ‘OECD 교육지표 2022’의 분석 결과를 3일 발표했다.
분석에 따르면 2019년 기준 한국 학생 1인당 공교육비 지출은 1만 3819달러로 2018년보다 7%(905달러) 늘었다. 이는 OECD 평균 (1만 1990달러)보다 높은 수준이다. 공교육비는 학부모가 사교육에 쓴 비용을 빼고 정부나 민간이 사용한 모든 교육비를 뜻한다.
초등교육 단계에서 1인당 공교육비는 1만 3341달러, 중등(중고교)은 1만 7078달러로 2018년 대비 각각 6%(807달러)와 14%(2100달러) 증가했다. 반면 고등교육(대학)은 1만 1287달러로 2018년 대비 0.02%(2달러) 감소했고 OECD 평균(1만 7559달러)보다도 한참 낮았다.
GDP 대비 정부재원 공교육비 비율은 초중등 단계에서 3.4%로 2018년보다 0.3%포인트 높아졌고 OECD 평균(3.1%)보다도 높았다. 이에 비해 고등교육 단계에서는 0.6%로 OECD 평균(0.9%)보다 낮았다.
공교육비 중 정부가 지출한 비율은 75.4%로 2018년보다 1.8%포인트 상승했고 민간 지출은 24.6%였다. 다만 초중등 단계에서는 정부 지출 비율이 90.4%로 OECD 평균(90.2%)보다 높은 반면, 고등교육에서는 민간지출 비중이 61.7%로 1.5%포인트 높아졌다. OECD 평균 민간 부담 비중이 30.8%인 데 비하면 한국의 민간 부담 비중이 두배에 달한다.
우리나라 만 25~34세 청년이 대학 교육을 받은 비율은 69.3%로 2년 연속 1위를 기록했다. OECD 평균은 46.9%로 한국이 22.4%포인트 높았다. 그러나 같은해 대졸자의 고용률은 76.8%로 OECD 평균 84.1%보다 7.3%포인트 낮았다. 고졸은 70.0%로 평균보다 5%포인트, 전문대졸은 76.5%로 4.3%포인트 낮았다.
2020년 우리나라 성인의 임금을 교육 단계별로 비교해 보면 고졸자 임금을 100%로 놓고 봤을 때 전문대학 졸업자 임금이 110.2%, 대학 졸업자가 138.3%, 대학원 졸업자가 182.3%였다. 2019년 전문대 졸업자의 상대적 임금이 108.3%, 대졸자가 136.3%였던 것과 비교하면 임금 격차는 커진 것으로 조사됐다.
김지예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