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일 오후 4시 57분쯤 충남경찰청 112치안종합상황실로 전화 한 통이 걸려왔다. 전화를 건 20대 여성 A씨의 목소리가 미세하게 떨렸다. 신고접수 요원 최명예 경사는 심상치 않은 상황임을 직감했다. 최 경사는 “혹시 위급상황인가요”라고 물었고, A씨는 “예”라고 답했다. 최 경사는 A씨를 안심시키면서 위치 등을 파악한 뒤 세종시 조치원읍 원룸으로 신속히 경찰관을 보내 폭행을 당하던 A씨를 구조했다.
25일 충남경찰청에 따르면 A씨는 사귀던 20대 남성 B씨으로부터 폭행을 당했다. A씨가 최근 이별을 통보하자 B씨가 A씨 집을 찾아와 데이트폭력을 행사한 것이다. 비좁은 원룸에서 B씨의 폭행을 피하기 어려웠던 A씨는 휴대전화로 몰래 112 버튼을 눌렀고, B씨가 눈치를 못 채도록 음식을 주문하는 척했다.
현장에 출동한 경찰은 B씨를 A씨 원룸 밖으로 분리했다. 다만 사안이 경미하고 A씨가 처벌을 원하지 않아 사건을 종료한 뒤 A씨를 상대로 B씨에게 연락이나 접근이 없었는지를 확인하는 작업을 진행했다.
이미지 확대
충남경찰청 청사. 충남경찰청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충남경찰청 청사. 충남경찰청 제공
데이트폭력이 빈번한 상황에서 ‘음식주문’을 가장한 피해 신고와 함께 자칫 ‘오인신고’나 ‘장난전화’로 지나칠 수 있는 상황을 경찰관이 정확히 파악하고 피해 여성을 구조한 사례가 그동안 여러차례 있었다.
경찰생활 10년 경력의 최 경사는 “밀려오는 신고 전화에 밤잠 못 자고 때론 지칠 때도 있지만 위기에 처한 여성을 구조해 보람을 느낀다”고 말했다. A씨는 위기상황을 벗어나게 해준 것에 고마움을 전했다.
예산 이천열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