힌남노, 6일 경남남해안 상륙 전망…“한 번도 예상 못한 피해 발생할 수도”

힌남노, 6일 경남남해안 상륙 전망…“한 번도 예상 못한 피해 발생할 수도”

김헌주 기자
김헌주 기자
입력 2022-09-02 14:09
수정 2022-09-02 15:0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매미’보다 강한 상태서 상륙
6일 밤 동해로 빠져나갈 수도

이미지 확대
‘태풍 피해 없도록’
‘태풍 피해 없도록’ 제11호 태풍 ‘힌남노’가 북상하고 있는 가운데 2일 오전 울산시 북구 정자항에서 어민들이 어선을 육지로 옮기고 있다. 2022.9.2 연합뉴스
이미지 확대
태풍 힌남노가 한반도를 향해 북상하는 가운데 2일 오전 제주 서귀포항에 어선들이 대피해 있다. 2022.9.2 연합뉴스
태풍 힌남노가 한반도를 향해 북상하는 가운데 2일 오전 제주 서귀포항에 어선들이 대피해 있다. 2022.9.2 연합뉴스
초강력 태풍 ‘힌남노’가 6일 경남 남해안에 상륙할 것으로 전망된다. 역대급 태풍인 ‘사라’(1959년), ‘매미’(2003년)보다 더 강력한 상태에서 한반도에 상륙할 가능성도 있다.

기상청은 2일 힌남노가 6일 새벽이나 아침 경남 남해안에 상륙할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기상청이 힌남노 발생 이후 국내 상륙을 전망한 것은 처음이다. 우진규 기상청 총괄예보관은 “한 번도 예상하지 못했던 태풍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라면서 대비를 당부했다.

힌남노가 국내 상륙할 때 강도는 ‘강’인 상태로 전망된다. 태풍 강도는 ‘중-강-매우 강-초강력’ 4단계로 나뉜다.

상륙 시 중심기압과 최대풍속은 950hPa(헥토파스칼)과 43㎧일 것으로 예상된다. 중심기압이 낮을수록 태풍의 위력은 세다.

국내 기상관측소에서 측정한 사라와 매미 중심기압 최저치는 각각 951.5hPa(부산)과 954hPa(통영)이다.

힌남노는 6일 밤 동해로 빠져나갈 것으로 보이나 내륙에 상륙한 태풍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많아 정확한 예측은 쉽지 않은 상황이다.

5일 오전 9시와 6일 오전 9시 힌남노 폭풍반경은 각각 180㎞와 160㎞로 예상된다. 강풍반경은 420㎞와 400㎞로 중부지방 북부지역을 제외하곤 전국이 포함된다.
1일 오전 경기 수원시 수도권기상청에서 예보관들이 태풍 상황을 실시간으로 살피고 있다. 2022.9.1 연합뉴스
1일 오전 경기 수원시 수도권기상청에서 예보관들이 태풍 상황을 실시간으로 살피고 있다. 2022.9.1 연합뉴스
힌남노는 우리나라에 근접하기 전에도 고온의 수증기를 불어넣어 제주와 남해안에 많은 비를 내리겠다.

2일부터 4일까지 예상 강수량은 제주 100~250㎜(많은 곳은 350㎜ 이상), 전남남해안과 경남해안 50~150㎜, 경북남부·경남내륙·전남(3일부터·남해안 제외)·수도권·서해5도(4일부터) 20~70㎜, 강원영동·경북북부와 충청·전북·울릉도·독도(3일부터)·강원영서(4일) 10~50㎜다.

강수량이 집중되는 5~6일에는 경기남부·충청·남부지방·제주가 비의 중심이 될 전망이며 경기남부 외 수도권과 강원도 또한 강하게 발달한 비구름대 영향권에 들겠다.

5일에서 6일로 넘어가는 시점에는 해일처럼 높은 물결이 해안가로 들이닥칠 수도 있다.

힌남노는 라오스 캄무안주에 있는 국립보호구역 이름으로 현지어로 ‘돌가시나무 새싹’이란 뜻이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