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확산 영향으로 자동차 수출 물량이 크게 줄어든 가운데 8일 현대차 울산공장 야적장에 완성차들이 대기하고 있다. 울산 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코로나19 확산 영향으로 자동차 수출 물량이 크게 줄어든 가운데 8일 현대차 울산공장 야적장에 완성차들이 대기하고 있다. 울산 연합뉴스
국내 완성차업체 노동자 10명 가운데 8명은 2035년 신규 내연기관차 판매 금지 정책에 공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제환경단체인 그린피스와 금속노조는 14일 국회에서 열린 토론회에서 이러한 내용의 ‘한국 자동차산업 노동자의 기후위기 및 정의로운 전환 인식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그린피스의 의뢰로 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가 금속노조와 함께 현대·기아·한국지엠 노동자 1019명을 대상으로 면접 및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응답자의 94%가 기후위기가 심각하다고 답했다. 기후위기가 삶에 영향을 미친다는 답변도 89%에 달했다. 가장 큰 영향으로는 건강 피해가 32%였고, 재산 피해 25%, 전환에 의한 고용 불안 16% 순이었다.
정부의 미래차 산업 전환 정책에 대해 “알고 있다”고 답한 노동자는 절반 수준인 52%에 불과했다. 다만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내연기관 자동차 신규 등록을 2035년까지 금지하겠다”고 공약한 것과 관련해 응답자 82%는 공감한다고 했다. 2030년 또는 그 이전 판매 금지에 공감한다는 응답자도 64%에 달했다.
전체의 89%는 자동차 산업의 고용 규모가 줄어들 것이라고 답했다. 미래차 산업 전환과 관련해선 정부의 미래차 인프라 구축과 재정 지원에 우선순위를 둬야 한다는 의견이 33%로 가장 많았다. 이어 노동자의 역량 및 고용 안정성 강화 25%, 기업의 미래차 전환 경영 전략 및 계획 17.9%가 뒤를 이었다.
장다울 그린피스 전문위원은 “윤 당선인이 기후위기로부터 국민의 안전과 재산을 지키고 한국의 책임과 역할에 부합하는 온실가스 감축을 달성하기 위해 약속한 대로 2035년 내연기관차 등록 금지 정책을 이행할 것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박상연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