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책 월북’ 탈북민, 하루 전날 짐 모두 버리고 자취 감춰

‘철책 월북’ 탈북민, 하루 전날 짐 모두 버리고 자취 감춰

신성은 기자
입력 2022-01-04 10:25
수정 2022-01-04 10:2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웃들 “평소 교류는 물론 인기척도 없어…북한 갔을 줄은”

이미지 확대
2020년 11월 동부전선 최전방 철책을 넘어 귀순했다가 1년여 만에 다시 월북한 30대 초반 탈북민 A씨가 지난해 마지막 날 주거지의 짐을 모두 정리하고 자취를 감춘 것으로 확인됐다. A씨가 2021년 마지막 날 분리수거장에 내놓은 이불류. 배출 서류를 붙여놓지 않아 ‘경비실로 연락 바란다’는 안내문이 붙어있다. 2022.1.4  연합뉴스
2020년 11월 동부전선 최전방 철책을 넘어 귀순했다가 1년여 만에 다시 월북한 30대 초반 탈북민 A씨가 지난해 마지막 날 주거지의 짐을 모두 정리하고 자취를 감춘 것으로 확인됐다. A씨가 2021년 마지막 날 분리수거장에 내놓은 이불류. 배출 서류를 붙여놓지 않아 ‘경비실로 연락 바란다’는 안내문이 붙어있다. 2022.1.4
연합뉴스
2020년 11월 동부전선 최전방 철책을 넘어 귀순했다가 1년여 만에 다시 월북한 30대 초반 탈북민 A씨가 지난해 마지막 날 주거지의 짐을 모두 정리하고 자취를 감춘 것으로 확인됐다.

A씨가 지난해 3월부터 거주했던 서울 노원구의 한 공동주택에 함께 살던 이웃은 3일 “여기서 8년을 살았지만 A씨를 본 건 서너 번이 전부”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신정 전날(2021년 12월 31일) 오전 7시께 새벽 기도를 마치고 돌아오는데 A씨가 새것 같은 포대기와 매트리스, 이불을 엘리베이터에 실어서 버리더라. 모두 너무 새것이라서 이상했다”며 “A씨는 처음 이사를 왔을 때도 책이며 수납장이며 짐이 한가득이었는데 며칠을 밖에 놔두고 가져가지 않다가 한참 뒤에 갖고 들어가더라”고 했다.

A씨는 2021년 마지막 날 그렇게 짐 정리를 한 뒤 새해 첫날 자취를 감췄다.

A씨의 다른 이웃들도 “이 단지에 워낙 탈북민이나 조선족이 많이 살지만, A씨가 다시 북한에 갔을 줄은 상상도 못 했다”고 입을 모았다.

A씨를 담당했던 노원경찰서는 지난해 6월 두 차례 A씨에게서 월북 징후가 보인다고 서울경찰청과 경찰청에 보고했지만 상부에서는 근거가 부족하다며 보강할 것을 지시했다.



이 과정에서 A씨가 지난해부터 월북을 준비하면서 중국과 러시아 여행 등도 알아본 정황도 파악됐지만, 생계와 심리 등에 대한 추가 징후는 발견되지 않았던 가운데 A씨는 결국 다시 철책을 넘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