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육아휴직 넷 중 한 명은 ‘아빠’… 대기업 쏠림은 여전

육아휴직 넷 중 한 명은 ‘아빠’… 대기업 쏠림은 여전

이영준 기자
이영준 기자
입력 2021-12-21 17:50
업데이트 2021-12-22 18:4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남성 육아휴직자 추이
남성 육아휴직자 추이
지난해 육아휴직자 넷 중 하나가 ‘아빠’인 것으로 나타났다. 육아는 엄마와 아빠가 함께하는 것이라는 인식이 보편화한 결과다. 다만 육아휴직자의 대기업 편중 현상은 계속됐다. 중소·영세 업체 종사자에게 육아휴직은 여전히 꿈 같은 얘기다.

21일 통계청의 ‘2020년 육아휴직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육아휴직에 들어간 직장인은 16만 9345명으로 집계됐다. 2019년 16만 3256명 대비 3.7%(6089명) 늘었다. 이 중 엄마가 13만 834명(77.3%), 아빠가 3만 8511명(22.7%)이었다. 처음으로 엄마 비중이 80%대 아래로 떨어졌고 아빠가 20%를 넘었다. 2010년만 해도 엄마는 97.3%, 아빠는 2.7%로 차이가 컸으나 10년 새 각각 20% 포인트씩 줄고 늘었다. 전체 아빠 육아휴직자는 2010년 1967명에서 19.6배, 엄마 휴직자는 2010년 7만 1000명에서 1.8배 늘었다.

연령별로 엄마는 30~34세 39.8%, 35~39세 35.8%였고, 아빠는 35~39세 43.4%, 40세 이상 32.6%였다. 엄마는 자녀가 0세일 때 휴직을 한 비중이 81.3%로 가장 높았다. 아빠는 자녀가 7~8세(초등학교 1~2학년)일 때 휴직을 한 비중이 33.4%로 가장 높았다.

지난해 육아휴직을 쓸 수 있는 사람이 실제로 휴직한 사람의 비중(육아휴직 사용률)은 24.2%로 집계됐다. 2010년 11.9%에서 10년 새 2배 이상 높아졌다. 육아휴직자의 63.5%(엄마 62.0%, 아빠 68.6%)가 종사자 수 300명 이상 대규모 기업에 다니고 있었다. 4명 이하 기업 소속은 엄마 5.0%, 아빠 3.5%에 불과했다. 육아휴직이 아직은 대기업·공공기관 직원의 전유물에 그치고 있다는 뜻이다.

세종 이영준 기자 the@seoul.co.kr
2021-12-22 8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